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읽기 전의 나는, 뭔가 한없이 부족해보이는 우리 가족의 모습이 너무 부끄러웠고.그게 무슨 죄인 양 입밖으로 꺼내기를 두려워하고 있었다.

 친구들은 평범한 가정,즉 엄마 아빠와 함께 사는 화목한 가정 아래 살고 있었고,  그들이 자신의 엄마와 관련된 얘기를 할 때면, 난 마치 미아가 된 것 마냥 어떤 말을 해야 할 지 헤메기 일쑤였다. 

그리고 어디서 들었는지 어른들의 "이혼자녀"에 대한 선입견은 더욱 나 자신을 감추는 큰 실수를 저지르게 만들었다..그 결과 난 나를 당당하게 들어냄으로써 어른으로 성장해야 하는 시기를 늦춰버린 것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이 책을 읽은 후, 나는 나의 가정에 부끄러움을 느낀 것이 얼마나 잘못된 것이며, 이혼한 가정이든 평벙한 가정이든 결국 다른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나의 꿈 '가족심리상담사'가 되고 싶은 욕구가 더 뚜렷해졌다. 나처럼, 위녕처럼 아팠을 그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고, 괜찮다고 다독여주고 싶은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는 마치 내 마음 속 비밀을 훅훅 털어놓은 것 같이 속시원했고, 마치 나와 마음이 맞는 친구를 만난 듯 반갑기도 했다.

이 글을 읽는 동안 날 울렸던 말들을 되짚어 읊어본다면,

"위녕, 가끔은 네가 너무 조숙한게 겁이나.

얼마나 마음 고생이 많았으면 그랬을까 싶어서..

엄마도 어렸을 때 아주 조숙했는데, 그것만 믿고 있다가

평생을 성숙은 못하고 그냥 미숙하게 살았거든.

혹시 네가 그러지 않을까 겁도 나고..

... 너무 이해하려고 하지마.

가끔은 네가 엄마를 너무 이해하는 것 같아 겁이 나.

쉽게 이해하고 용서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마

그건 미움보다 더 나빠.

진실이 스스로를 드러낼 시간을 자꾸만 뒤로 미루어서

우리에게 진정한 용서를 빼앗을 수 있으니까.."

이 글의 저자가 딸 위녕에게 말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읽으며 나를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나도 위녕처럼 어릴 때부터 웃어른들께 조숙하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자랐다. 내가 초등학교 다닐 때,부모님이 이혼하셨다.그때의 어린 나는 무슨 베짱인지 앞으로 엄마 없이 자라야 할 나보다 엄마가 없는 아빠가 걱정되었고, 나는 다른 아이들처럼 어리광 부려선 안되고 아빠와 엄마를 이해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국 어언 7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나의 덩치는 이미 아빠만큼 커버렸지만, 마음은 아직 초등학생 때의 "조숙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허우적 거리고 있었다. 그것을 깨닫자 난 엄청난 배신을 당한것같이 해머로 얻어맞은 듯 어지러웠다.

그리고 한참 후 읽은 부분,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 엄마는 그걸 운명이라고 불러...

위녕,그걸 극복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그걸 받아들이는 거야.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거야. 큰 파도가 일 떄 배가 그 파도를 넘어

앞으로 나아갈 수 밖에 없듯이, 마주 서서 가는거야. 슬퍼해야지.

더이상 슬퍼할 수 없을 때까지 슬퍼해야지. 원망해야지.

하늘에다 대고, 어떻게 나한테 이러실 수 있어요! 하고

소리 질러야지. 목이 쉬어 터질 때까지 소리 질러야지.

하지만 그러고 나서, 더 할 수 없을 때까지 실컷 그러고 나서...

그러고는 스스로에게 말해야 해. 자, 이제 네 차례야 하고."

 에서 초등학교 때의 어린 나는 얼마나 힘들고 아팠을까를 생각하며  그때의 슬픔이 다 할 때까지 두 눈이 뜨거워질 정도로 펑펑 울었다. 그랬더니 정말,정말로 나는 나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지금 현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나를 남에게 보이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오히려 당당해 질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어느 누가 어릴 적 나에게 "너희 어머니는 너를 별로 사랑하지 않아서 간거야!" 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그래서 난 그 때 작은 개구리가 되어 그사람이 내게 던지 돌맹이에 맞아 아파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것은 그들의 편견이였다. 이혼한 사람들은 자식을 덜 사랑해서가 아니다. 물론 자신의 남편 또는 아내에게 질려 다른사람을 사랑해서 이혼한 것도 아니다.

그동안 공지영이 써왔던 소설들이 늘 사회적 파장과 이슈를 제공했듯이 이 소설도 최소한 우리 사회의 한가지 편견만은 깨줄 것을 믿는다. '부당하게 참고 살아가는 것으로 자신을 망치는 것보다 열번 이혼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것이 인간답게 사는 길' 이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