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이은경 지음 / 서교책방 / 2024년 5월
평점 :

큰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이 참 많았다.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에 휘둘리고 싶지 않아
내가 제대로 된 교육 정보를 알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에 다양한 강의와 유튜브 속 강연들을 찾아보았다.
그럴 때 우연히 이은경 선생님의 '슬기로운 초등생활' 이라는 유튜브를 만났고
진솔한 영상과 진심어린 조언들로 어느 덧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선생님이 캐다나에 계실 때부터 봤던 영상들.
아이들 이야기를 알게 되면서 더욱 인간적인 모습으로 다가왔던 선생님.
학습적으로도 참 많은 도움을 받았지만 한 사람로서
아이들에게 올인하지 않고 나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선한 영향력을 끼쳤던 이은경 선생님.
그런 이은경 선생님이 새로운 책을 출간하셨다.
이번에는 교육 도서가 아닌 이은경 선생님의 이야기가 담긴 에세이다.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우린 엄마니깐 '다정한 관찰자'는 과연 누구일까?
처음 제목을 보고 '다정한 관찰자'는 엄마겠지?라고
생각을 했는데
그 질문은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을
읽는 내내 생각해보았다.

우리 아이들은 어쩔 수 없이 다른 아이들과 비교를 당하며 교육부터 생활까지 살아간다.
하지만 이건 아이들은 물론이고 엄마와 가족 모두 참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금쪽이'라는 단어는 어느 순간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들을 지칭한다.
'금쪽이'가 되지 않도록 우리 부모들도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이은경 선생님의 글은 많은 공감이 가며 귀한 아이일수록 엄하게 키워야 함을 다시 한번 더 느꼈다.

선생님의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에는 깨알진 웃음도 있다.
선생님은 아름다운 외모와 이쁜 선생님이라고 알고 있지만
사실은 그 어느 누구보다 우리 옆집 엄마인 모습이다.
이런 모습들이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에 그대로 녹아있다.
대표적인 단어가 '추노'.
엄마들은 몇 번씩은 '추노'가 되지 않는가. 아가씨 때는 상상할 수 없는 모습.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에는 깨알진
웃음도 있지만 눈물도 있다.
선생님이 왜 마라톤을 하는지 그리고 왜 운동에 열심히인지는 많은 오래된 팬들은
알고 있다.
그 이유를 알기에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 이야기를
읽다보면 어느새 눈물이 고여 함께 울고 있다.
어른들은 결혼을 해야 어른이고, 아이를 낳아봐야 진정한 어른이 된다고 하셨다.
그 말은 정말 아이들을 키우며 또 다른 나를 발견하면서 공감한다.
그래서 내가 아이들의 관찰자가 아닌 아이들이 우리를 관찰하고 있는 건 아닐까?
다양한 자녀교육서를 만나보았지만 이토록 진솔되고 눈물을 쏟게하는 자녀교육 에세이가 있을까?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읽는 내내 아이를 어떻게 하면 잘 키우고 똑똑하게 키울까라는
생각보다는 아이에 대한 생각과 나의 미래 그리고 우리 가족의 모습도 돌아보게 되었다.
'다정한 관찰자'.
서로를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아닐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