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이은경 지음 / 서교책방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이 참 많았다.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에 휘둘리고 싶지 않아 

내가 제대로 된 교육 정보를 알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에 다양한 강의와 유튜브 속 강연들을 찾아보았다.

그럴 때 우연히 이은경 선생님의 '슬기로운 초등생활' 이라는 유튜브를 만났고

진솔한 영상과 진심어린 조언들로 어느 덧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선생님이 캐다나에 계실 때부터 봤던 영상들.

아이들 이야기를 알게 되면서 더욱 인간적인 모습으로 다가왔던 선생님.


학습적으로도 참 많은 도움을 받았지만 한 사람로서

아이들에게 올인하지 않고 나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선한 영향력을 끼쳤던 이은경 선생님.


그런 이은경 선생님이 새로운 책을 출간하셨다.

이번에는 교육 도서가 아닌 이은경 선생님의 이야기가 담긴 에세이다.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우린 엄마니깐 '다정한 관찰자'는 과연 누구일까?

처음 제목을 보고 '다정한 관찰자'는 엄마겠지?라고 

생각을 했는데

그 질문은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을 

읽는 내내 생각해보았다.


우리 아이들은 어쩔 수 없이 다른 아이들과 비교를 당하며 교육부터 생활까지 살아간다.

하지만 이건 아이들은 물론이고 엄마와 가족 모두 참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금쪽이'라는 단어는 어느 순간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들을 지칭한다. 

'금쪽이'가 되지 않도록 우리 부모들도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이은경 선생님의 글은 많은 공감이 가며 귀한 아이일수록 엄하게 키워야 함을 다시 한번 더 느꼈다.

선생님의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에는 깨알진 웃음도 있다.

선생님은 아름다운 외모와 이쁜 선생님이라고 알고 있지만

사실은 그 어느 누구보다 우리 옆집 엄마인 모습이다.

이런 모습들이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에 그대로 녹아있다.

대표적인 단어가 '추노'.

엄마들은 몇 번씩은 '추노'가 되지 않는가. 아가씨 때는 상상할 수 없는 모습.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에는 깨알진 

웃음도 있지만 눈물도 있다.

선생님이 왜 마라톤을 하는지 그리고 왜 운동에 열심히인지는 많은 오래된 팬들은

알고 있다.

그 이유를 알기에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속 이야기를

 읽다보면 어느새 눈물이 고여 함께 울고 있다.

어른들은 결혼을 해야 어른이고, 아이를 낳아봐야 진정한 어른이 된다고 하셨다.

그 말은 정말 아이들을 키우며 또 다른 나를 발견하면서 공감한다.

그래서 내가 아이들의 관찰자가 아닌 아이들이 우리를 관찰하고 있는 건 아닐까? 


다양한 자녀교육서를 만나보았지만 이토록 진솔되고 눈물을 쏟게하는 자녀교육 에세이가 있을까?


<나는 다정한 관찰자가 되기로 했다> 읽는 내내 아이를 어떻게 하면 잘 키우고 똑똑하게 키울까라는

생각보다는 아이에 대한 생각과 나의 미래 그리고 우리 가족의 모습도 돌아보게 되었다.

'다정한 관찰자'.

서로를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아닐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