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할아버지와 손자, 할아버지와 아들, 할아버지와 할머니!


표면적으로는 관계와 사랑의 이야기이지만, 실제론 시간에 대한 이야기이자, 동시에 기억에 대한 이야기이다. 사실 시간은 기억과 아주 밀접하기 때문이다. 시간의 인식은 사건으로 이뤄진 기억이 차곡차곡 쌓여지며 다가오기 때문이다. 결국 기억은 경험과 이어지고, 경험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주인공 할아버지는 기억과 시간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사실을 할아버지 주인공 또한 받아들여가고, 또한 손자에게 어떻게 전하는지 고민이 보이는 이야기이다.


피에 대한 표현이 아름답다. “빨간색의 조그만 꽃이 핀다. 상처 끝에 맺혀서 중력과 싸우고 있다.” 아마도 흐르는 피는 점점 멀어져가는 기억을 나타내는 듯 상상하게 된다.


할아버지의 기억은 광장으로 나타나고, 그 공간은 매일매일 작아진다. 특히 수학에 관심갖고 집착하는 모습은 기억을 잃지 않고자 계속 연습하는 할아버지의 노력이 숫자놀이로 나타나는 듯 하다. 그리고 그 모습은 사진을 찍고, 기록을 남기며 삶의 기억을 남기고자 하는 많은 현대 사람들의 일상과도 일맥상통한다.


히아신스 향기’, 그러나 어느 순간 아무 향기도 나지 않는 방안의 모습은 후각이 기억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과학적으로도 그렇지만 후각은 많은 경우에 기억과 잘 연결 된다. 특정 기억에 연결되는 냄새는 그 순간으로 되돌아가게 만들기 때문이다.


손자 노아의 손을 꽉 잡고 있는 할아버지는 모든게 사라져도 마지막까지 손자를 붙잡고 싶었다. 아마도 누구보다 자신과 닮아 있어서 사랑스러웠던 손자를 향한 할아버지의 마음이랄까.


손자 노아가 할아버지에게 한 아주 쓸모 없는 선물은 기억에 있어서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아주 쓸모 없는 선물이라 오히려 웃음이 나며 기억이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어이가 없어서 말이다. 그런 선물로 할아버지의 기억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손자의 태도는 과연 지혜롭다고 할 수 있다.


할아버지는 무엇보다도 아내 할머니와의 기억을 잃고 싶지 않아한다. 사랑의 기억 말이다. 구체적으로 사랑을 하고 사랑을 받았던 감정이다. 그렇다. 어떤 기억보다도 소중하고 아름다운 기억말이다.


이어지는 이별을 배워가는 손자의 대답은 참 지혜롭다. 특히 자신을 잊어버릴까봐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 왜냐하면 자신을 잊어버려도 새롭게 친해질 수 있기 때문이란다. 참 지혜롭다.


누구나 혼자있기 두려운 마음이 있는 인간, 그것은 아마도 죽음, 기억상실등으로 혼자가 될 수 있다는 인간의 한계 앞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일 것이다. 하지만 어떻게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인, 기억을 유지할 수 있을까, 그리고 또 기억이 사라진다해도 굳이 너무 슬퍼하지 않아도 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깊이 생각하고 지혜를 찾게 인사이트를 전해주는 책이다.


무엇보다 책장 사이사이에 포함된 삽화들이 아름답고 평화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