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구입 한 도서인데 손이 가지않아 한동안 묵혀 두었다가 요 며칠 사이에 읽기를 마쳤다. 우선, 저자가 반체제인사로 약, 20여년의 형기를 감옥에서 보낸 인고의 세월에 대해 숙연 해지는 마음이 우선한다. 저서는 그러한 세월과 더불어 모든 것을 달관 한 경지의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은 '중도,의 입장에서 물흐르 듯 비교적 쉬운 문체로 중국 춘추전국시대를 풍미했 던 제자백가인 공자에서 부터 한비자,송대, 신유가의 집대성자인 주희에 이르기까지의 사상을 독자로 하여금 이해가 쉽도록 안내하고있다.  언젠가는 동양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마음이 절실한데 역시, 해설서의 도움없이는 원전읽기는 어렵다는 생각을 해본다. 본,저서는 저자의 사상을 어느정도는 반영하여 해석했다.그래서 약간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다소 보이지만 자신의 주장을 절대 강요하지는 않는다. 읽는이로 하여금 주관적 견해를 가질 수 있도록 편안하게 인도한다.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그 상황에 자신들의 사상을 대입시켜 세상의 변화를 시도 한 각, 학파들의 치열 한 사상적 배경에 대해 작금의 우리의 현실과 접목해서 읽고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물론, 사고에서 그치지않고 자신의 확고한 성찰을 통해 현실에 대한 주체적인 가치관과 안목을 가질 것을 주문한다. 내용은 춘추시대 공자의 유가사상은 당시의 부국강병책에 부합하지않는 이상론으로 각, 제후국으로부터 외면을 받고 한비자의 법가사상이 진,제국통일의 원리로서 채택된다.  비록, 법가사상에의해 제국이 통일되지만 단명의 제국에 그친다. 형,벌을 기초로한 공포정책으로  일시적 패권을 장악하지만 지속적인 정권을 유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후,한나라가 유가사상을 채택하면서 안정 된 제국을 확립하는 데 이것은 오늘날까지 중국을 관통하는 사상이 분리되지않고 일관 된 하나의 계통체계로 계승,발전되었음을 보여준다. 내용 중에 눈이 가는 대목이 있는데 중국은 중화주의라는 자신들만의 독특한 자부심으로 외래문화가 들어오기도 어렵지만 일단, 들어와도 중국화되는 경향을 피력한 부분이다. 불교의 유입이나 최근의 서구자본주의도입을 철저히 자신들의 사회주의에 예속,변형,발전시키는 그들만의 고유성을 보면서 장차,기독교가 도입된다면 어떤모습을 할지 자못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