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마디로 긍정을 강요하는 사회를 비판하는 책이다. 

긍정적 생각,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열정, 웃음 치료 뭐 이런 것들을 강조하는 강연회 자리에서 한번쯤은 자신이 무척이나 이방인으로 느껴졌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저자의 말에 박수를 치며 공감할 것이다.

부정적, 비판적 사고 또한 우리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법인데, 알게 모르게 잊고 살아온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긍정의 심리학'이라...

별다른 생각없이 그냥 좋은 게 좋은 거다식으로 받아 들였는데, 저자는 바로 그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어느 것도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이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우리 사회의 긍정 이데올로기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현실의 문제를 외면하게 하거나, 비판을 제기하는 거 자체를 차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불만을 제기하면 마치 부정적인 외골수의 인간으로 왕따시키는 풍조 말이다.

저자는 미국발 금융위기의 원인  또한 과도한 긍정주의, 낙관론이 초래한 결과라고 날카롭게 지적한다. 긍정심리학의 인기에 편승한 다양한 코칭 산업에 대해서도 일침을 가하고 있다. 


정말 우리 사회도 최근 들어 '긍정학'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긴 한 거 같다. 개그콘서트 봉숭아학당에도 "여러분 우리는 행복합니다"를 외치는 웃음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았나. ㅎㅎ

갑자기 개콘을 생각하니 웃음이 나온다. 봉숭아 학당의 웃음캐릭터를 보면서 말도 안되는 소리에 우리는 어이없어 웃기도 하고, 그 안에 담긴 날카로운 풍자에 웃기도 하는 거 같다.  


풍자. 웃음 속에 감추어진 비판. 이건 우리 문학의 특징인데, 그러고 보니 우리 조상들이 참 유쾌하면서도 날카로운 사람들이었던 거 같다. 

암튼 이 책은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삐딱하게 바라볼 줄도 알아야 한다는 걸 가르쳐 주었다. 결국은 균형감각을 잃지 않는 사고가 중요하다는 것. 저자가 한 말 중에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이다.

"요즘에는 대학에서도 행복과 긍정적 사고에 관한 강좌가

유행이지만, 대학에서 배워야 하는 것은

긍정적 사고가 아니라 '비판적' 사고이다.

비판적 사고란 본질적으로 회의를 품는 것이다.

가장 훌륭한, 또 가장 성공할 학생은

잠깐 교수를 불편하게 하더라도

날카로운 질문을 제기하는 학생이다.

대학원생이라면 전공이 문학이든 공학이든

권위 있는 인물에 도전할 능력이 있어야 하고,

동료들의 생각과 배치되더라도 밀고 나가

자신의 새로운 관점을 방어할 수 있어야 한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