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리더, 핵카톤하라 - 구글 인재는 왜 페이스북으로 옮길까?
김영한.김영안 지음 / 북클래스(아시아경제지식센터)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한마디로 신선했다. 

새로운 방식의 업무 처리 과정이랄까. 아무튼 흥미롭다.

'핵카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이다.

'해킹'은 아이디어 해킹을 의미한다. 나쁜 뜻이 아니라 아이디어의 원리를 파악해서 그것을 뛰어넘는 창조를 하라는 의미이다. 

즉, 제대로된 모방을 통한 창조라고 말할 수 있겠다. 

'마라톤'은 무엇이든 시작하면 진짜 마라톤 경기처럼 끝장을 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열정'을 강조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디어 회의만 하고 실행은 되지 않는 현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 방법이 핵카톤식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서 아이디어 회의에서 제품개발, 마켓런칭까지 한번에 끝내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좋은 아이디어(컨셉)을 가진 사람이 자발적인 실행팀을 구성한다.

2. 아이디어 공유와 실행 방안 협의

3. 즉시 실행에 옮겨서 데모 버전 개발

4. 아이디어 발상에서 시제품 개발까지 끝장을 본다. 

이는 요즘 새로운 경영의 모델이랄 수 있는 <페이스북>의 경영 방법이라고 한다. 
페이스북의 젊은 CEO 주커버그도 핵카톤에 직접 참가하여 아이디어를 내기도 하고 우수한 프로그램은 바로 서비스를 시작하기도 한단다. 대학 기숙사 문화에서 비롯한 이런 자유롭고 창의적인 리더십이 구글의 인재들을 페이스북으로 끌어오는 힘이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핵카톤과 비교하면서 기존의 큰 기업들이 추락하는 이유를 제품 중심적인 사고와 브레인스토밍의 블랙홀(의견만 내고 실행이 안 되는 문제), 프레젠테이션의 블랙홀 등을 이야기하는데 공감이 간다. 

효율적인 업무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각종 회의와 보여주기식 보고서, PT등이 난무하는 현실...

그런 '현실' 앞에서 '열정'이 식어버린다는 말에 완전 공감이다.

빠른 시간내에 다 같이 협력해서 완성된 작품이 나오게 할 수 있는 핵카톤이란 방식. 각 분야에 맞게 변형해서 활용해 보는 것도 괜찮겠다.

이래도 실패, 저래도 실패라면 빨리 해 보고 빨리 실패하고
빨리 다른 방식을 찾는 것이 더 나으니까 말이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