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은 순간이다 - 삶이라는 타석에서 평생 지켜온 철학
김성근 지음 / 다산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에세이에 이렇게나 포스트잇을 많이 붙이게 된 경우는 정말 그간의 독서기억에 손에 꼽을정도로 극히 드문데,
김성근 감독님의 책은 아마 내 생각에도 앞으로의 부동의 1위가 아닐까 싶다.
첫장 ‘들어가며’에서부터 마음을 흔들었던 경우가 이렇게나 없었는데, 한 챕터 한 챕터 읽어나가면서
내 자신이 선수도 아니면서- 아 어쩜 나도 내 인생을 책임져야하는 리더이자 선수이니깐 다른의미에선 맞을수도 있겠다- 정신을 새롭게 무장해 나가는 기분이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0.jpeg)
그리고 감독님의 이런 인생에 대한 깨달음이라던지,
인생에 대한 철학 교훈들을 오롯이 정갈하게 담은
이 책 한권으로 이제 끊임없이 다시금 읽을수 있다라는게 너무 감사했다.
그리고 내 가까운 이들에게 얼른 이 책을 접할 수 있게 선물도 해야겠다라는 마음까지도,
정말 책 도입부부터 강하게 든것은 정말이지 처음이다.
사람이 10년을 한길을 걸어오고 일을하면 그일에서 전문가가 된다고 하는데
생각해보니 나는 지금 15년째 한길을 걸어오고 있다.
그래서인지, 요즘들어 부쩍 번아웃이 오기도 한 상태이고
나름 내 자신이 전문가라는 생각에 빠져 들어있었던 상태이기도 한데
감독님께선 지금 82세의 나이에 현역의 자리에서 끊임없이 공부하며 일을 하신다.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너무 존경스럽지 않은가.
15년 그저 하나의 일만 해왔을뿐인데 나약해 져 있는 내 모습인데
어떻게 82세라는 지금이 나이가 되실때까지 올곧은 마음과 가치관으로
이렇게 단단하게 계실수가 있으실까.
그저 책 읽는내내 감탄과 감탄밖에 하지않았던것 같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1.jpeg)
나는 야국에 사력을 다하며 살아왔고 야구는 내 인생의 전부라는것.
그리고 야구란 인생과 정말 똑같다는것.
사람이란 죽을 때 까지 공부해야 하고, 생각해야 하고, 거기서 나온 아이디어를 실행하며 살아야 한다라는것.
그냥 사는 인생은 없고, 나이가 들어서도 그렇다는것.
그저 들어가는 서문에서부터 이런 참교훈이라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2.jpeg)
이 때부터 포스트잇을 꺼냈던것 같다.
야구를 하러 한국에 왔는데 야구를 할수 없는 몸이 되어
은행에 들어가셨을때도
자신의 처지에 비관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더 열심히 배우고 그자리에서 최선을 다하셨다.
여기서 끝날리가 없다라는 생각으로.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4.jpeg)
인생을 살아보니, 기회란 흐름 속에 있다보면 언젠가는 오는 것이라고.
그러니 매일의 순간순간을 허투루 보내서는 안되었고 그럴 수도 없었다라고.
누구에게나 세번의 기회는 오는데,
그 기회를 잡느냐 아느냐의 차이는 바로 준비에서 온다고.
준비가 된 사람은 기회가 오면 잡을 수 있고,
기회를 잡은 사람은 모든 준비가 된 사람인것이다 라는 말씀에서
감독님은 본인 스스로가 기회들을 접하셨지만
그 기회들을 모르고 지나치치도 않으시고
준비된 자세로 매 순간의 기회를 소중하게 잡아오신것이시다.
그저 운이 좋았다?라고 하기엔
이미 시작점 그 이전부터 늘 다른사람들과 다른 마인드로
지내 오신것이다.
그러다보면 운도 내 편으로 오는것.
매일의 흐름속에서 자기의 베스트를 다하라는것.
야구도 인생도 그러한것. 살아보니 똑같다라는
이미 지금의 긴 인생을 그리고 그 인생을 알차게 가득 채워 오신
감독님께서 이런 말씀들을 하시는데 어찌 흘러보낼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5.jpeg)
새해가 오면 기쁘지만 한살 더 나이가 먹는것에대해
나이듦에 대해 잠시 우울해지고 친구들과도 그런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했던것 같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선수들과 함께하는 감독님께서
힘이 든다거나 나이를 먹어서 이제는 못 하겠다는 의식은 전혀 없다.
사실 그런 의식이 끼어 들기 시작하는 순간 몸이 늙는것이라고.
아까까지는 잘 되던것이,
‘힘들다’ 생각하기 시작하면 갑자기 힘들게 느껴진다라고.
한계란것이 그렇다라는것에,
만약 감독님께서 보시기엔 아직 햇병아리라고도 할수 있는 나이에
나 스스로 한계를 규정짓고 늙었다라고 생각하는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3/pimg_7078041134103286.jpeg)
그리고 의사선생님께 들은 얘기로
요즘은 백세 시대라고들 하는데,
자꾸 일흔, 여든 살만 먹으면 곧 죽을 줄 알고
집에 가만히 드러누워 있기만 한다고들.
그래서 이제는 ‘곧 일흔 살 먹은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해도
듣는 사람이
‘아이고, 애가 벌써 죽었네’하는 시대가 온다라는것.
그래서 감독님께서도 든생각이,
그러면 100살 먹은 사람눈에는 나는 아직 아이겠다라는 것.
그렇게 선입견에서 빠져나오면 생각이 바뀌고 몸도 바뀔수 있다라는것.
나 자신의 한계를 짓고 규정짓고 그 한계에 스스로 굴복해버리는 것만큼 어리석은게 어디있을까라는 생각이든다.
그리고 감독님께서도 나보다 더 인생을 살아오시면서 느껴왔던점이
그런 이야기이신데
이런 건강한 마인드로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일구이무(一球二無)’. 김성근 감독님이 즐겨 쓰는 말이자 좌우명
‘공 하나에 최선을 다할뿐 다음은 없다’는 뜻. 매 순간 허투루 보내지 않고 기회를 잡겠다는 그 의지가
나 역시도 야구선수이진않지만 내 인생에 선수아닌가?
나이라는것은 그냥 가진것이니
감독님 말씀처럼 절대 나스스로가 한계짓고 타협하지말고
언제든지 ‘트라이(try)’하겠다.
내가 나태해 질때라던지 마음을 다스려야 할때라던지
감독님의 책을 내 머리맡에 두며 여러번 정독하며 나 자신을 붙잡아야 겠다.
올 해가 지나가기전에 이렇게나 뜻깊은 인생의 책을 만날수 있어서
너무나 감사한 하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