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중독을 사랑해 - 환상적 욕망과 가난한 현실 사이 달콤한 선택지
도우리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인류는 오랜 시간 궁핍의 시대를 살아왔다. 오죽하면 근대 인구학자 멜서스는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인류의 증가폭은 기하급수적이기에 필연적으로 기근에 시달린다고 예측했을까. 하지만 그가 예측하지 못했던 녹색혁명, 나아가 2, 3, 4차 산업혁명은 우리를 풍요의 한 가운데로 몰아넣었다. 심지어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풍요가 1930년대 대공황을 가져왔다는 세계경제사적 아이러니를 마주한다. 이러한 풍요의 시대는 과잉으로 이어졌고, 과잉은 중독을 낳았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 대부분은 어딘가에 중독되어 있다. 너무도 무의식적인 중독이라 인지하지 못할 뿐, 중독은 우리 삶에 아주 밀접하게 닿아있다. 도우리는 2022년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중독을 절묘하게 파고든다.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언어로 중독을 탐구하지 않고, 아주 일상적인 방식으로 다가선다. 배달의민족과 오늘의집, 당근마켓처럼 우리의 일상이 되어버린 서비스와 함께, MBTI와 사주풀이, '갓생'처럼 온라인 세계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트렌드로 우리의 중독을 간파한다. <우리는 중독을 사랑해>를 읽다보면 우리의 일상이 어쩌면 중독 그 자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될 수밖에 없다.


#2.

특히나 눈길이 갔던 건 [방꾸미기]를 다룬 제3장이다. "누군가의 집에 초대되고 나서야 볼 수 있는 내밀한 광경"을 "플랫폼 내에서 클릭 한 번만으로 낯선 사람들의 집 사진을 몇만 장 이상으로, 그것도 커튼이나 조명 하나하나의 가격까지 클로즈업해서 끊임없이 볼 수 있게"(p65) 된 시대에, 집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더욱 극명하게 드러내는 수단이 되었다. 그럴듯한 의생활과 폼나는 식생활만 챙기면 되는 줄 알았는데 이제는 감성적인 주생활까지 만천하에 공개된다. 폭등하는 주택가격과 비좁은 면적, 주거라는 의미보다 주택이라는 재산의 가치에 중점을 두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청년(뿐만 아니라 수많은 시민)들의 주거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진다. 하지만 감성과 손재주를 가진 유저들은 자신들의 기발함으로 이 문제를 멋지게 극복한 삶의 공간을 구축한다. 그러나 그들이 꾸며놓은 공간의 근사함 속에 앞서 언급했던 문제들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진다. "디자인은 디자인의 값을 지불할 있는 사람 아니라 모든 이들을 위한 일"(p73)이라는 1919년 북유럽의 노조위원장의 선언은 2022년에 비로소 실현되었지만, 결국 그것은 또다른 중독을 가져왔다. 또한 집이라는 공간을 나를 중심으로 한 우주로 설계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타인과 다른 존재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조물주적 시선을 갖게 된다. 이를테면 "식물은 플랜테리어라는 마케팅을 거쳐 기르고 돌보는 생명체나 생태계라기보다 소품, 그러니까 무생물이 됐다."(p76) 삶의 터전을 가꾸며 삶의 질을 높여보자는 사회적 흐름은 매우 주목할 만하지만 그것이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가, 그리고 그 뒤에는 어떠한 욕망들이 가려져 있는가를 고민해야할 때다.


#3.

중독에 대한 도우리의 치밀한 탐구를 따라가다보면 그 끝에서는 대부분(이라고 하지만 실은 언제나) 노동의 문제와 마주한다. 사람들을 열광하게 하는 심리 테스트 결과에 대한 해설은 "모두 노동자에 대한 캐릭터 묘사"(p170)이며, '배민맛'은 노동시간에 치여 사는 "도시 노동자의 퇴근 후 휴식 때뿐 아니라 점심시간의 필수재"(pp.48-49)다. 특히나 우리의 노동에 인정투쟁이 더해질 때, 그것은 비로소 엄청난 중독의 파워를 갖는다. "대부분 생산성 앱 혹은 인스타그램에 인증샷을 올리거나 트위터에서 '#갓생프로젝트', '#오늘부터갓생1일'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게시글을 올리는 것으로 완성"(p22)되는 갓생도, "현실의 노동 공간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노동의 수고로움을 인정받음으로써 위로받"(p216)는 노동자들의 브이로그도 그러하다. 노동으로 인한 중독은 더 많은 노동을 유발한다. "자기 연출이라는 직무가 분리되어 있던" 전통적인 셀럽과 달리 오늘날의 인플루언서 노동자들은 "자기 연출, 영업, 홍보를 모두 책임"지는 "나에 대한 사용자이자 노동자"가 되었다(p204). 자본주의적 구조 하에서, 시스템은 언제나 개개인에게 더 많은 노동을 통해 최대의 이익을 산출하고자 하고 '중독'이라는 방식을 통해 노동자들을 이 체계에 순응하게 만든다. 우리는 언제쯤 이 중독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노동의 삶을 꿈꿀 수 있을까?

-

*한겨레출판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된 리뷰입니다.

패션은 길거리에 널려 있지만, 인테리어라는 건 누군가의 집에 초대되고 나서야 볼 수 있는 내밀한 광경이다. 그때만 해도 가장 잘 꾸민 집에 대한 상상력은 드라마 속 재벌 집까지였다. 그조차 대체로 미적이라기보다 규모에 관한 것이었다. (…) 이걸 오늘의 집이 바꿨다. 예를 들면, 플랫폼 내에서 클릭 한 번만으로 낯선 사람들의 집 사진을 몇만 장 이상으로, 그것도 커튼이나 조명 하나하나의 가격까지 클로즈업해서 끊임없이 볼 수 있게 됐다.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