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렇지 않다
최다혜 지음 / 씨네21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김지현, 강은영, 이지은. 세 여성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다. 세 명 다 미술을 공부했고 여전히 관련된 분야에서 일을 한다. 지현은 일러스트레이터로, 은영은 시간강사로, 지은은 화가로 활동한다. 누군가는 자신의 전공(혹은 기술)으로 먹고 살고 있지만 누군가는 그렇지 못하며, 누군가는 그렇게 말하기 참으로 애매하다. 어쨌든 다들 '전공 언저리'에서 살아가며 미술과 연결된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고학력-여성-서민출신-예술가의 삶이란 녹록지 않다. 작가의 말을 보니 이 세 사람의 이야기는 모두 작가 자신의 이야기로 귀결되는 것 같아 더 씁쓸했다. 


#2.

예술가의 모든 창작과정은 본질적으로 인정투쟁이라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상당 부분 동의한다. 대중들에게 인정받지 못한다고 해서 그 예술이 무의미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과 별개로 모든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이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기를 원한다. 누군가에겐 그 대상이 대중이며, 누군가에겐 평단이고, 누군가에겐 소수의 사람들이 그 인정의 대상이다. 인정받고자 하는 대상은 자기가 선택하지만, 어쨌든 예술은 그 대상에 대해 자신이 인정받고자 하는 지속적인 투쟁의 과정이다. 이 책 속 세 명의 예술가(혹은 지식노동자)의 삶 또한 마찬가지다. 그들은 계속해서 투쟁한다. 세상이라는 거대한 벽에 막혀 있기에 그들의 투쟁은 더욱 고달프다. 투쟁 없는 '인정'을 그대로 얻을 수 있는 이들이 추월차선처럼 그들의 옆을 지나가지만 그들은 요행을 바랄 수 없다. 계속해서 투쟁이 답이라고 생각하며 오늘도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는다.


#3.

계층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사회문제가 있겠냐만은, 예술대학에 다니다보면 특히 계층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예술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평균적인 가정환경은 다른 분야 전공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평균이다. 평균에는 언제나 함정이 존재하듯 최댓값과 최솟값의 가능성이란 것이 내재한다. 특히나 평균치가 높아지면 그 문제가 더 극명하게 나타난다. 마치 다른 분야에서는 부유한 삶이 'someone special' 같이 여겨진다면, 그곳에선 그렇지 않은 이들이 계속해서 추월당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다. 지현과 은영, 지은이 부모를 원망하지 않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한다. 부모님이 지원해준 건 별로 없지만, 그래도 꿈을 지지하긴 했으니까. 반대하진 않았으니까 이런 식으로 원망으로부터 멀어질 구석을 찾아보지만 역부족이다. 가정환경으로 자신을 아무렇지 않게 앞서나가는 동료들의 모습을 보면 그들이 자신의 부모에 대한 미움과 가정환경에 대한 억울함이 은연 중에 솟구친다. 분명 부모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구조 탓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그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지 묻고 싶지만 답은 찾을 수 없다.

-

*하니포터 2기 활동의 일환으로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계속 회사를 다녔아야 했을까? 그랬다면 매달 월급도 받고, 사람구실은 하면서 살았겠지? 계속 그림을 그리는게 맞나? 할 수 있는 것들도 점점 없어지는데... 이렇다 할 성과도 안 보이고. 돈도 없으면서 무슨 생각으로 그림을 그리겠다고 한건지 모르겠다." - P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