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김성우.엄기호 지음 / 따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활자 중심에서 멀티미디어 중심으로 넘어간다는 '매체의 변화'로부터 출발한 두 저자의 대담은, 사회 전 영역에 대한 깊은 고찰로 이어진다. 미디어의 변화를 바라보는 그들의 관점은 세대론과 교육문제, 나아가서는 불법 촬영물 문제로 이어지며, 사회 전반에 매체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들은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매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능력인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리터러시'는 단순히 텍스트를 읽어내는 능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텍스트로 작용하고, 이것을 비로소 깨달을 때, 리터러시는 성장한다. 그리고, 다양한 미디어를 바탕으로, 미디어에 대한 무한한 선택권이 주어진 이 시대가 위험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세상을 텍스트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듣고 싶고, 보고 싶고, 알고 싶은 것 만으로 세상을 구성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세상을 알아가는 것이 아닌, 자신이 아는 것으로 세상을 구성하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행위인가.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이라는 고독한 과정이 두려워, 계속해서 자신을 지지해주는 이를 찾는 것은, 우리를 조금도 앞으로 나아가게 하지 못한다. '아무도 날 지지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마주해야 한다.⠀
  '읽는' 행위는 매우 주체적인 행위이다. 우리는 단순히 활자를 뇌에 담아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과정을 통해 각자의 사고회로를 돌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가 읽었던 수 많은 텍스트들을 합치고 분리하며 뇌 속에서 또 다른 텍스트를 생산해낸다. 그래서, 작가만큼 독자가 중요한 것이다. 아무리 작가가 자신의 글을 써내려가도, 그것을 읽으며 새로운 조합과 지식을 생산해줄 독자가 없다면, 그 글은 무의미하다. '잘 쓰는 법', '작가가 되는 법'을 갈망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잘 읽어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읽는 사람은 세상 모든 것을 텍스트로 여기고 그 의미를 해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해석은 자기만의 해석이 됩니다. 의견이 되는 것이죠. 이렇게 고독하게 자신만의 완결적인 의견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 이것이 근대적 시민이고 개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