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우지 말라고 하지 마세요 - 우리 아이 사회성 솔루션
이다랑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학교에서 선생님께 칭찬을 많이 받는다며 집에 와서 자랑을 하는 아이.

친구들의 착하다는 칭찬에 으쓱해지는 아이.

나는 그런 아이가 커가면서 '착하다'라는 칭찬에 휘둘려 자신의 욕구를 참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는 게 아닐까?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에게 이용당하는 게 아닐까? 하는 걱정이 있었다.


<싸우지 말라고 하지 마세요>


이 책은 사회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며 풀어내어 사회성의 본질이 무엇인가 바라보게 하고, 아이가 가진 고유한 특성(기질)에 따라 사회성을 키우기 위해 부모가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책을 통해 내 아이는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편이며, 이런 경우 아이의 욕구를 알고 불편한 타인의 요구를 거절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사회성 발달을 위한 핵심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필요하다면 아이의 담임 선생님께 지나치게 배려하거나 참고 도와주는 것에 대해 착한 아이라고 칭찬하지 말아주시길 부탁드릴 수도 있다.


반대로 '사회적 민감성' 특성이 낮은 아이라면 과제가 달라진다. 사회적 관계를 인지하고 타인의 관점이나 입장, 감정 등을 이해하는 '사회적 조망 수용 능력'을 키워줘야 하는데, 그림책이나 영상물을 보고 전체적인 맥락, 등장인물 간의 관계와 주고받는 영향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것이 효과가 좋다고 한다.



내 아이이는 사교성이 좋은 아이다. 친화력이 좋다는 말도 잘 듣는다. 처음 만난 또래와 어느새 어울려 놀기도 잘한다. 하지만 그것이 '사회성이 좋다'고 볼 수는 없다고 한다.

사회성은 '친해지는 속도'가 아니라 '건강한 관계를 지속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사회성의 본질은 무엇일까?

-사회성은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으로, 한 사람이 독립적인 존재로 잘 성장하여 세상과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능력이다.


사회성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

양육의 최종 목표인 '독립'이 사회성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사회성은 아이의 생애 주기에 따라 끝없이 이어진다. 배변, 수면 교육은 특정 연령대가 지나면 마무리되지만 사회성은 평생 필요하다.

둘째,

사회성이 자존감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된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아이의 마음속에 ‘나’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쌓이게 된다.



자녀의 사회성 발달을 도우며 부모가

주의해야 할 것은

1. '타고난 기질은 바꿀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하고 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아이의 특성을 수용해야 한다.

2. 아이가 발달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오늘 내 아이의 사회성이 부족하고 서툴더라도 불안해하지 말고 기다려줘야 한다.

3.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갈등 상황을 회피하지 말고 아이와 함께 부딪히며 해결해나가야 한다.

4. 내가 아이의 발달을 넘어서는 너무 높은 수준의 사회성을 기대하고 있는 건 아닌지도 조심하자.


이 책을 지으신 (주) 자란다 아이성장연구소 이다랑 소장님은,

대학에서 아동학을 전공하시고 아동 발달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계신다.

육아상담 전문 기업(주) 그로잉 맘 창업자이자 발달 심리 전문가로 부모에게 현실적으로 와닿는 육아법을 고민하며 방송, 강연 및 sns로 많은 부모님과 소통하신다고 한다.


기억에 남는 문장


6쪽/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자신의 세상에서 짐을 풀고 정착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딱 독립의 지점까지 데려다주는 것입니다. 이후 삶은 아이의 몫이어야 합니다.


81쪽/ 아이가 가진 고유한 특성은 다 다르고 성격 발달의 과정도 각각 다르기에 이 과정에 사회성 발달을 위해 꼭 배우고 연습해야 할 ‘사회성 과제’도 저마다 다릅니다.


92쪽/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이미지를 갖는 것은 자신감에도 영향을 줍니다. 내가 나 자신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은 사회성 발달의 시작이며 기본입니다. 이를 토대로 타인을 지나치게 회피하거나 의존하지 않는 건강한 사회성 발달이 시작됩니다. 아이가 자기 자신에 대해 다양하고 건강한 상을 만들어가도록 도와주세요!


179쪽/ 친구가 공격적이고 거친 행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참거나 양보하는 아이에게 부모나 선생님이 적극적인 칭찬을 보내는 것은 아이에게 매우 해롭습니다. 아이는 싫다고 말할 수 있는 권리가 원천봉쇄되고 마는 것이지요.



📖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읽고 솔직한 감상을 남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