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서 이해해야 읽기가 완성된다. 읽고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효과적인 방법은 소리 내어 읽는 것이다.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문장을 반복해서 소리 내어 읽으면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독학으로 원하는 시험에 모두 합격한 야마구치 마유는 《7번 읽기 공부법 》에서 "모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라고 했다. 읽기와 이해는 다르다. 문장을 읽는 것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인지‘이고 기억에 남기는 것의미를 간파하는것은 ‘이해‘다. 문장을 읽고 이해하려면 어느 정도 예비지식이 있어야 한다.~
읽기도 마찬가지다. 여러 번 소리 내서 읽으면 문장과 친해진다. 반복해서 읽는 동안 정보가 배경지식과 결합한다. 그러면서 문장을 이해한다. 두세 번 읽으면 내용이 조금씩 이해된다. 이때 중요한 단어와 문장에 밑줄을 긋는다. 중요한 단어와 문장을 기억하거나 다시 보기 위해서밑줄을 긋는다. 책을 깨끗하게 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밑줄을긋는 것을 낙서와 동일시한다. 책이 귀하던 시절에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었지만 지금은 책을 소비성 콘텐츠, 소유보다 효과를 더 중요하게생각한다. 많은 독서 전문가는 책에 밑줄을 긋고 여백에 메모하면서 읽으라고 권한다.

<핵심읽기 최소원칙, 정경수, 큰그림, 2019, p52-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러 매체와 책에서 설명한 글과 인터넷 콘텐츠를 찾아서 읽으면 알고 싶은 것 즉 목적을 달성하는 읽기가 가능하다. 목적을 달지는 읽기는 독서법에서 다독과 비슷하다. 다독은 같은 책을 여러 번 배복해서 읽는 것재, 여러 권의 책을 한꺼번에 읽는 것독이다. 고전은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야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론이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때는 다양한 콘텐츠를 짧은 시간에 동시에 읽는 게효과적이다.


<핵심읽기 최소원칙, 정경수,큰그림, 2019, p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천히 집중해서 읽는 것을 정독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거의 모든 부모는 아이에게 읽기를 가르칠 때 한 글자씩 또박또박 읽으라고 한다. 글자를 손으로 짚어가면서 책을 읽어주기도 한다. 한 글자씩 또박또박 읽 는 습관을 들이면 성인이 돼서도 한 글자, 한 줄씩 읽는다. 정독은 한줄도 빠짐없이 읽는 게 아니라 집중해서 읽는 것이다. 집중해서 읽으라고 하면 글자를 뚫어지게 바라본다. 과거에는 이런 정독이 진짜 독서라고 생각했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의 정독은 인터넷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모르는 개념은 다른 책을 참고하고 내용 중에 언급책이 있으면 직접 찾아서 읽는 것이다. 통독 2단계와 정독의 차이점이 여기에 있다. 통독 2단계는 지금 읽고 있는 글에만 집중하면 된다. 지하철, 버스, 공원 어디서든지 통독 2단계를 실천할 수 있다. 하지만 정독은 관련된 다른 책과 글도 읽어야 하고 사전을 찾아보고 정확한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서재나 도서관처럼 책상에서 읽어야 정독을 할수 있다. 관련 도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야 집중해서 책을 읽는 정독이 가능하다.


<핵심읽기 최소원칙, 정경수,큰그림, 2019,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는 방법은 ‘목적‘에 따라 바꿔야 한다. 어떤 목적으로 읽느냐에 따라 읽는 방법도 달라진다. 속독은 글을 읽으면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는 읽기 기술이다. 즐기기 위해서 읽는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일정한 속도로 읽는 통독이 적합하다. 입문서도 마찬가지다. 앞의 내용을 모르는 채로 뒷부분을 이해할 수 없는 글은 통독으로 읽는다. 통독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눈다. 통독 1단계는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과정이다. 즐기기 위해서 읽는 소설과 산문, 에세이는 통독 1단계로 읽는다. 이해하기 위해서 읽는 입문서, 전문서, 학술잡지는 밑줄을 긋게나 중요한 문장과 단어를 메모하고 의미 지도를 그리며 통독 2단계로읽는다.


<핵심읽기 최소원칙, 정경수,큰그림, 2019,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목적을 가지고 읽는 문서는 단락이 끝나면 내용을 요약하고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점검하면서 무엇을 이해했는지, 무엇을 모르는지 확인해야 한다.
<핵심읽기 최소원칙, 정경수,큰그림, 2019,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