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수/김동영, 당신이라는 안정제, 달 출판, 2020

 

우울증,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은 무엇인가?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던 책이었다. 내가 이 책을 읽게 되었던 계기는 제목이 위로에 관한 책이었기 때문에 선택하게 되었다. 나는 평소에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을 동정하기만 할 뿐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그들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다. 이책은 많은 반성의 계기가 되었고 본 받고 싶은 사람의 자세가 담긴 책이라는 것이다.

내가 읽은 이 책은 다소 조금 우울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평소 정신질환을 이해하지 못 하거나 존중하지 않았다면 읽어 볼 수 있는 책이며 이 책을 읽으므로 그들이 어떤 고통을 가지고 있는지 존중하고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읽기 시작 했을 때 난 우울증 공황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동정하기만 했을 뿐 그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하지만 책에 나오는 김동영씨는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다. 김동영씨의 아픔에는 뼈가 부러지거나 살이 찢어져 붉은 피가 보이는 상처가 아니였다. 매일 매일 찢어지는 고통이었고 자신이 매일 쓸모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 분은 그렇게 아프면서도 자신이 얼마나 쓸모있고 없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또 생각하며 자신이 글을 쓸 때 쓸모 있다고 느껴 매일 힘들게 글을 썼다 글을 쓸 때 안아픈 것이 아니였다 단지 글을 쓰면 쓸모 있는 사람이라고 느껴졌기 때문이였다. 글을 쓸 때 주머니 한가득 약을 넣고 고통스럽게 글을 끝까지 썼다는 장면을 보고 그제서야 나는 그 사람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상처 하나 없고 피 한방울 흘리지 않는 고통도 아픈 것은 다를게 없다고 느꼈다. 나는 나처럼 아파본적 있나요?’라는 글을 보며 또 한번 얼마나 아팠을지 생각했다. 김동영씨의 말은 나를 반성하게 하는것에 큰 역할을 했다 나는 평소에도 내 일을 하지 않고 미루는데 바빴지만 이 분은 아팠음에도 이거라도 해야 자신이 쓸모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끝까지 한다는 것에서 내가 가장 반성하고 본 받아야겠다고 생각을 했던 부분이었다 내가 만약 김동영씨처럼 정신질환을 앓고 있고 글을 써야 쓸모 있다고 느낀다면 지금의 내가 약을 한가득 먹고 그 고통을 이겨내며 글을 쓸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김동영씨를 존경하게 되었고 베울 점도 많은 사람이라고 느끼게 되었던 이유가 되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쉽게 잊은 것을 기억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라는 말이 가장 기억에 남았고 너무 속상한 말이었다. 김동영씨는 아프면서 사소하고 소중했던 기억을 하나씩 잊어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사소하고 작은 기억이었지만 점점 소중하고 중요했던 어머니의 기억 조차 사라졌다는 말이 너무 슬프게 느껴졌다. 나는 내 사소한 기억 소중한 기억 여러 추억들을 한순간에 천천히 잊는다면?이라고 생각하게 되니 어떤 느낌이고 얼마나 아플지 조금이라도 느껴졌다. 나는 평소에 내 사소한 것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고 대수롭게 여겼지만 이 문장으로 나를 다시 되돌아보고 사소한 것도 한번씩 돌아봐야겠다고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 나는 이러한 내용이 남긴 책을 읽기위해서 우울증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에 대해 더 찾아보게 되었고, 어떤 병이고 어떤 증상이 있는지 알아보니 더 쉽게 김동영씨의 아픔을 이해 할 수 있었다. 기억하고 싶어도 잊어버리거나 이유 없이 자신이 쓸모 없다고 느껴지는 감정이 나에게 온다면 나는 버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 이런 감정들이 너무 안타깝게 느껴졌다. 나는 처음에 이런 증상, 병을 이해하지 못 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도 되고 공감도 되고 위로하고 싶다는 점에서 내 생각 또한 변하게 되었던 것 같다.

나는 평소에 정신과 의사라던가 모든 의사들이 힘들긴 하지만 그렇게 많이 힘들어 한다고 생각은 못 했는데 이 책을 읽고 의사들은 자신의 환자를 위해서 수 많은 노력을 하고 환자가 나아지지 않거나 죽게 되었을 때 무능하다고 생각하고 혼자 많이 힘들어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의사가 되고 나서도 밤을 새며 공부하고 매일 매일 자신의 환자를 위해 노력 하는 모습이 감탄하게 되었다. 이 책에는 김동영씨의 담당 의사인 김병수씨가 나오는데 김병수라는 분은 누구보다도 김동영씨를 잘 알고 많은 말을 해주며 안정제 역할을 해주는 것이 느껴졌다. 예를 들어 자신이 우울증인게 고통스럽다고 말했을 땐 우울증은 공감능력 현실감각을 키워준다라고 긍정적으로 말을 해주며 그 분을 위로했다. 나는 이 위로가 가장 인상깊었다. 이 책은 우울증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에 관하여 알고 싶거나 그 사람들의 아픔을 깊게 느껴보고 싶거나 환자를 이해하고 공감하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너무 좋은 책일수도 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안타깝고 나도 슬퍼지는 부분에서 읽기가 힘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