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전혜린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7월
평점 :

이 시대와 이 책에서 말하고 싶은
불안한 젊음에 바치는 영원한 고전답게
책 표지부터 인생의 많은 시련과 고통을 겪은 후
선물처럼 찾아온 자유로운 정신의 상징 같은
두 날개를 활짝 펼친 새를 보니
가슴이 뻥 뚫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비단 저 뿐이 아닐 것 같은데요.
특히 옮긴이 전혜린 작가의 화려한 이력 및
작품들을 보면 왜 이 작품이 특별한 지 아실 텐데요.

책의 뒷날개에서 전혜린 작가를 만나다.
독문학자이자 독일문학 번역가로 활동했던
그분의 삶과 저서를 통해서도 읽히듯
데미안을 번역하는 그의 시선은 남달랐을 것 같습니다.

소설의 주인공 싱클레어의 성장과정 속에서 만난
데미안은 성경 속에서 최초의 살인자라고
할 수 있는 카인을 바라보는 시각부터 남달랐지만,
자아 개발과 새로운 인식을 심어준
신비스러운 인물로 그려지면서 시작된다.
싱글레어는 온전히 내 편인 것 같은 데미안과의
만남을 통해 자기 내면의 어두운 부분과 싸우면서
자유로운 자신의 인격을 찾게 된다.
이렇듯 [데미안]은 불안한 세상 속에 던져진
주인공 에밀이 성장통을 겪으면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세계를 만날 수 있음에
내 학창 시절에도 그렇고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수험생활을 열심히 해 온 아들이
최근 자주 질문하는 말이 있다.
"엄마, 내 머릿속에 두 가지 자아가 있는 것 같아요."
아~ 하루 종일 동일한 책상에 책과 씨름해야 하는
아들에게 찾아온 슬럼프일까요?
아들이 청소년을 지나 청년으로 향하는
그 과정 속에 알을 깨야 하는 미션이 있는 것인지?
지금 이때에 이 책을 권해 줘도 될지?
아무쪼록 잘 극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기도하게 됩니다.
이렇듯 [데미안]을 읽다 보면
왜 누구나 한 번은 미치게 되는 책인지
어른이 되어 또 한 번 깨닫게 되었기에
다음은 두 아들 차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