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흐르듯 대화하는 기술
요코야마 노부히로 지음, 김지윤 옮김 / 김영사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는 대화가 모든 일에 있어서 기본이라고 생각하고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화는 관계 형성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새로운 집단에서 친구를 사귈 때에 이야기가 잘 통하는 사람과 친구가 되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잘 통한다는 말은 즉, 대화가 잘 통한다는 말과 같다.

이는 가족 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흔히 가족을 가장 친밀한 집단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대화가 없다면 이는 틀린 말이 된다. 아무리 가족이어도 대화를 하지 않으면 우리 엄마가, 아빠가, 딸, 아들이 무슨생각을 하면서 살고 있는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이는 후에 "넌 가족인데 왜 내 마음을 몰라주니?"와 같은 갈등으로 번질 수도 있다.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인 회사에서 대화는 더더욱 중요하다. 집단 내 대화가 잘 통해야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작가는 이러한 것을 톱니바퀴에 비유했다. 즉, 톱니바퀴가 잘 굴러간다는 것은 대화가 잘 통하는 것이고, 톱니바퀴가 삐걱대거나 이가 맞지 않는다는 것은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작가는 대화가 통하는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책의 차례는 이러하다.

작가는 대화의 기술에 대해 흥미롭게 풀어가며 설명한다. 먼저, 대화가 안통하는 것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이런 것에 대해 설명할 때에 책 중간중간 만화가 나오는데 이 만화들이 시선을 끌어 지루하지 않게 책을 읽을 수 있다.

대화가 통하지 않는 유형을 만화로 표현한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몇몇 유형을 기술하고, 정말 대화가 잘 통하는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저는 'hear'와 'listen'의 차이가 요약문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p.108

우리가 말을 듣는 방식에는 두가지가 있다. 바로 'hear'와 'listen'이다. 이 영어 단어를 번역하면 둘 다 듣다가 되지만, 이 둘은 차이가 있다. 우리가 영어 듣기 평가를 할 때 방송에서는 'listen carefully'라고 한다. 즉, listen이란 주의 깊게 내가 그 말의 뜻을 이해하며 듣는 것이다. 반면 'hear'이란 그냥 들려서 듣는 것을 의미한다. 작가는 'hear'와 'listen'의 차이가 요약문에 있다고 했다. 즉, listen을 하면 스스로 요약문을 만들 수 있지만 hear을 하면 이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 listen하며 들어야 한다.

상대방을 '외국인'으로 간주하고 대화할 때의 세 가지 포인트

1. 사전 지식을 정성껏 설명한다.

2. 천천히 말하고 논점을 반복한다.

3. 다소 못 알아듣는 부분이 있어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p.135

작가는 대화가 통하지 않는 상대를 외국인으로 간주하라고 한다. 상대방을 외국인으로 생각하고 대화를 하면 상대방과 대화하기 좀 더 편해진다. 일단, 나 자신이 상대방에게 작은 것 부터 하나하나 설명하게 된다. 상대방이 언어가 다르고 문화가 달라 현재 하고 있는 대화의 배경지식이 하나도 없다고 간주하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천천히 말하게 된다. 만약 그가 내가 하는 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화가나거나 짜증이 나지 않고 "외국인이니 어쩔수없구나"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대화를 하다보면 나 자신도 상대방에게 말을 전할 때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게 되고, 상대방도 내 말을 좀 더 이해하기 쉬워진다. 만약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그냥 어쩔 수 없구나 라고 생각하니 딱히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앞으로 내가 사회에서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항상 대화를 해야하고 대화가 안통하는 순간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이럴 때마다 화를 내거나 답답해 할 수는 없다. 대화가 통하지 않더라도 내가 풀어나가야 할수밖에 없는 상황이 분명있을 것이다. 나는 이 책을 특히 직장인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상사와 대화가 통하지 않아 답답한 부분이 많을 때 이 책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