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의 논리학 - 말과 글을 단련하는 10가지 논리 도구
김용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지인이 <설득의 논리학>(김용규, 웅진지식하우스, 2020)을 읽고, ‘참 잘 쓴 책이다. 어려운 논리학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글을 잘 쓰려면 꼭 읽어야 한다. 저자가 독일에서 철학을 공부했는데 독일은 학위 따기 힘든 곳이다. 대단한 사람이다.’라며 소감을 말한 적이 있다. 그것도 몇 번씩이나. 궁금해진 나는 계속 기억해 두고 있다가 중고 서점 들렸을 때 구매했다. 그때는 글쓰기, 말하기에 대해 관심이 없던 시기라 저자가 아무리 쉽게 설명했어도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 않았지만, 다시 읽어보니 재미있다. 이 책은 2007년 초반으로 나온 책의 개정판이다. 저자는 <철학통조림>, <철학카페에서 시 읽기>, <영화관 옆 철학카페> 등 대중에게 철학을 소개하는 책을 여러 권 냈다.
이 책은 소크라테스, 셰익스피어, 아리스토텔레스, 베이컨, 셜록 홈즈, 비트겐슈타인 등 ‘설득의 고수’를 통해 설득의 논리학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논리학이라고 하면 자칫 딱딱하고 어려운 학문을 떠올릴 수 있는데, 우리가 접하는 강연, 토론, 프레젠테이션, 광고, 기획서 등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다. 논리학적인 용어를 쓰지 않았다 뿐이지 우리는 생활 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처음 읽을 때는 너무 익숙해서 어떻게 저 광고나 예문에 논리적 기술이 쓰였는지 살짝 헷갈리기도 한다. 설득에 쓰이는 논리학은 저 옛날 고대 그리스에서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민주주의가 꽃피우던 고대 그리스에서 ‘자신의 생각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득을 위한 수사학이 발달했다고 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4차 혁명 시대에 말을 잘하고 글을 잘 쓰기 위한 설득의 논리학이 각광 받을 것이라고 넌지시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