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식 영작문 수업 - 미국 대학생의 글쓰기를 지도한 한국인의, 토종 한국인을 위한 가장 체계적인 영작문 공부법 ㅣ 미국식 영작문 수업
최정숙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에서 영어를 배운 이 책의 저자는 미국에서 박사과정 중 학부생들의 글쓰기를 지도한 경력이 있다. ‘토종 한국인’(토종이란 단어로 사람을 수식하는 것이 이상하지만)인 저자가 원어민을 지도하다니. 어떻게 공부했길래 그런 실력을 가질 수 있었을까 궁금했다. 그 이유는 독종으로 불리는 ‘끊임없는 노력’과 ‘분석력’이다. 무료한 직장 생활에 영어를 공부했던 저자는 기초가 탄탄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입한 영어 교제에 나온 문장을 전부 암기했다고 한다. 자신이 한 영작과 원어민이 쓴 글을 비교하면서 공부를 한다. 이런 경험 때문인지 저자는 스스로 영작하는 공부를 강조하고 있다. 한마디로 훌륭한 영문을 씹어 먹고 분석하는 공부인 것이다.
이 책은 300p도 안 되는 글 속에 ‘영작문’에 대한 노하우를 압축적으로 전하고 있다. 아주 기초적인 영작문은 아니고 중급에서 고급으로 넘어갈 때 유용한 팁들이 수두룩하다. 한국에서 공부한 저자이기에 영작문에서 한국인들이 실수할 수 있는 지점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첨삭을 받는 것 같은 세세한 문장 분석식 설명은 이 책의 가치를 더하고 있다. 단순히 문장과 영작 예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영어식’ 문장을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이들이 읽을 때 군더더기 없이 세련되게 느낄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읽으면서 느낀 건 영작문을 잘하기 전에 한국어 실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장 ‘고급 영문을 만드는 5가지 방법’을 지나 2장 ‘간결하고 명료한 영어 글쓰기’를 보면 ‘논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감성적’인 나에게 저자의 논리적/분석적 설명은(영어 예시문이 아니다;;) 한국어로 쓰였는데도 불구하고 어렵게 느껴졌다.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 시키고, 이 개념들을 균형 있게 쓰는 방법은 ‘영어 에세이’ 이전에 논리적 글쓰기(한국어) 연습부터 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줬다.
부록으로 ‘영어 글쓰기 맞춤 문법’이 있는데, 도식화된 문법 설명, 영작 연습 문장과 영작 연습 문제에 대한 답과 자세한 설명이 있다. 바로 1장부터 들어가기에 망설여진다면 부록먼저 독파하고 1장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저자의 영어 공부법을 본받아 이 책 한 권을 씹어 먹는 자세로 공부한다면, ‘영작문’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