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 - 나태주 시인의 시를 읽으며 청춘의 일기를 쓰다
나태주 시와그림, 김예원 글 / 시공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세히 보아야 / 예쁘다
오래 보아야 /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풀꽃1

나태주 시인을 몰라도 이 시는 한 번쯤은 어디선가 접해봤을 시이다. 이 짧은 시에 울림이 있었고, 바쁜 일상의 발걸음을 멈춰 그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하였다. 일상 속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모여 현악기의 현을 고르는 것처럼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진 마음을 가다듬어 주는 일은 어찌보면 신기한 일이다.

나태주 시인의 시와 그림, 그리고 이 시에 대한 한 여대생(김예원)의 감상 일기가 엮인 책 ‘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가 발간되었다. 소담한 색연필 세밀화와 감성을 일깨우는 제목이 눈에 띈다. 김예원 작가는 대학 5년 동안 일상에서 나태주 시인의 시가 머릿속을 스칠 때면 일기장에 시와 함께 일상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 바탕 위에 탄생한 것이 이 책인데, 작가의 가족, 친구, 여행, 교생 실습, 취업, 사랑 등 진솔한 성장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한 편 한 편 시의 해설을 보는 듯, 김예원 작가의 다정하고 섬세한 감정과 당당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글에 스며들어 있어 어느새 입가에 미소가 그려진다. 어찌보면 내밀한 기억일 수도 있는데 자신의 인생 한 부분을 세상에 드러냈다는 용기에 감탄이 나온다. 이런 용기는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성장해 나가려는 저자의 태도에 기인한 것은 아닐까.

나태주 시인은 책 서문에 “자기 인생에 비추어 나의 시를 새롭게 해주었다.”, “사랑으로 새롭게 사심 없이, 선입견 없이 읽어준 독자가 있었을까.”라며 시 동무 김예원 작가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있다. 자그마치 5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시로 만난 두 사람의 인연은 한 편의 소설 같은 미담이다.

우리가 ‘자주 생각하면서도 한 번도 제대로 표현한 적이 없는’ 것, 다시 말해 나 자신의 생각, 나 자신의 경험이면서도 쉽사리 사라지고,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을 붙잡아 예전보다 더 좋게 다듬어 나에게 돌려줄 때, 결국 우리는 스스로를 더 명확히 알게 되었다고 느낀다. <영혼의 미술관>(알랭 드 보통, p. 44)

포프의 ‘시의 핵심 기능’에 대해 설명한 부분이다. 사람들이 시를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을 되돌아보게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기운들이 수렴하고 다가올 봄을 준비하는 겨울, “당신이 오늘은 꽃이에요”와 함께 자신을 가다듬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