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알고 70세 생일 파티를 기대했던 빅 엔젤. 생일이 일주일 남은 시점에 천청병력 같은 소식이 전해진다. 그의 어머니 마마 아메리카가 10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는 소식. 하늘도 무심하시지. 왜 이런 순간에. 빅 엔젤은 어머니의 장례식을 미뤄 자신의 생일 파티와 함께 치루기로 결정한다.
이 소설은 빅 엔젤과 그의 부모님, 형제 자매, 아내와 처제들, 자녀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멕시코계 미국인인 빅 엔젤의 생애는 그의 가족들을 언급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주인공인 빅 엔젤이나 가족들은 미국 어디엔가 살고 있을 것 같은 소란스러움과 생동감을 품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막장 장편 가족 드라마를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복작복작 다사다난… 그럼에도 연결되어 있는 가족.
빅 엔젤, 페를라, 엘 인디오, 브라울리오, 미니, 랄로, 리틀 엔젤, 마마 아메리카, 돈 안토니오, 라 글로리오사 등등 읽어나가며 화자가 바뀔 때 마다 따라잡기에 급급했는데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가선 이들이 친근하게 느껴졌다. 어쩌면 그리워지는 가족 간의 연대감이 불러온 향수 일수도.
가족은 헤어졌다가도 다시 만나는 법이지, 하고 그녀는 생각했다. 마치 물처럼 말이다. 이 사막 같은 삶에서, 가족이란 바로 그 물이었다. (p. 70)
빅 엔젤은 마냥 강건하지도 선하지도 않은 억센 인상을 주는 “아부지”이다. 직장에서 빅 엔젤이 들고 다녔던 컵에 새겨진 “엘 헤페(윗사람)”. 이 컵이 그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 같다.
‘헤페’가 ‘아버지’를 뜻하는 은어라는 건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 무엇보다도, 빅 엔젤은 아버지이자 한 가문의 가장이었다. 가족의 하느님이자 멕시칸의 최고신. (p. 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