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성숙인가 - 나를 바꾸는 예수의 가르침
조정민 지음 / 두란노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님과 삶이 이원화가 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수없이 반복해서 스스로를 성찰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기독교인이면서 하나님을 구주로 영접했다면서 삶의 모습은 하나님이 목표가 되고 목적이 아닌 하나님을 삶의 수단으로 여기는 경우를 보며 씁쓸함을 느낍니다. 성경 말씀 그대로 실천하며 살아가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그렇지만 말씀대로 살아가려는 노력조차 기울이지 않는 것은 결코 하나님과 상관없는 사람이라고 여길 따름이지요. 우연한 계기에 알게 된 분이 있는데 기독교인임을 알게 되었고 반가운 마음으로 인사를 건넸을 때, 그분이 그럽니다. 저보고 종교인 말고 예수님을 믿는 사람이냐는 말이었습니다. 아마도 이 책 무엇이 성숙인가저자인 조정민 목사님의 표현처럼 '하나님과 상관없는 종교행위를 하면서 마치 신앙인이라 착각하는 사람'을 구분하는 의미의 말이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믿음과 삶은 분리될 수 없습니다. 신앙생활은 믿음의 걸음과 삶의 현실을 어떻게 하면 하나로 연합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믿는 바대로 살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그리스도인으로 간다는 것은 힘에 겨운 일입니다. 절대 만만한 일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믿음과 삶의 일치를 보여 주셨고 제자들도 그 일치를 따르도록 요구하십니다.

-121

 

정말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하면서 자꾸만 자신이 믿는 하나님을 두고 맹세한다는 말을 하는 사람으로 인해 시달리면서 자숙(自肅) 했던 요 며칠이었습니다. 상대방과 제가 믿는 하나님이 다른 것일까요? 도대체 어떤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인지 의아할 따름이었지요. 때문에 제가 처한 환경을 되돌아보며 만약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셨을까?”라는 생각에 잠겨 무엇이 성숙한 신앙인의 모습인지 찾아보았습니다. 몇 주 전 설교 본문이었던 시편 73편을 읽으며 악인의 형통에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종국에 보여주실 하나님의 뜻을 기대하며 더욱 열심히 기도하자는 결단을 하고 가까스로 힘든 짐을 내려놓을 수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믿는 사람들에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해야 하며 하나님의 눈이 항상 하나님의 사랑하는 자녀들을 향한다는 말씀에 힘을 얻게 됩니다.

 

'어떻게 어른스러워집니까?

예수님의 첫 설교 자리로 돌아가

온몸이 귀가 되어 듣고 또 들으십시오.'

 

이전보다 더 성숙한 신앙인이 되고 싶다면 나를 바꾸는 예수의 가르침인 성경 말씀을 듣고 또 들으며 말씀이 내 안에서 역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처럼에 입각하여 그동안 깊게 생각하지 못했을 수 있는 참된 예배가 무엇인지?, 찬양이란 무엇인지.... 차근차근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에 이끌어주는 책, 바로 이 책 무엇이 성숙인가이 이끌어주리라고 생각합니다. 시끄러운 세상에서 좌로나 우로 치우치지 않기 위해서 고민하는 제자들과 자녀들을 위해 주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바로 오직 성령으로 충만함을 받으라”라고.(엡 5:18)

 

 

외부의 어떤 충격이 가해져도 무너지지 않는 집이란 어떤 집입니까? 우리 인격의 집입니다. 우리 성품의 집입니다. 주님을 만난 뒤 성품이 바뀌지 않는다면 우리는 집을 짓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소꿉장난하는 것입니다.

-2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