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이야기 - BBC 한 권으로 읽는 인도의 모든 것
마이클 우드 지음, 김승욱 옮김 / 살림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가로 방송 다큐멘터리 제작자로 현장 탐사를 다니며 대중에게 생생한 역사를 전해주는 영국 최고의 대중 역사가 마이클 우드, 그가 특별히 관심을 둔 나라가 있었는데 바로 인도라고 합니다. 마이클 우드는 지난 40년 동안 100여 편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영국 BBC의 간판 프로듀서로 이름을 날릴 정도였다고 하니 이 책 인도 이야기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상상 이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도하면 인종과 종교 그리고 문명과 연관된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13세기 인도를 방문했던 마르코 폴로에 의하면 인도라는 나라는 부유한 지역이며 신비의 땅이라고 극찬할 정도였다는 기록이 떠오릅니다. 인도 도대체 어떤 나라인지 무척 궁금하고요. 아직 가보지 못한 나라이기에 이 책 인도 이야기가 더 궁금했습니다.

 

세계적인 방송사의 유명 프로듀서답게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는 내용은 정말 유익하고 다양했습니다. 인류의 모든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이 인도라고 하지요. 이 책을 다 읽을 때쯤이면 인도라는 나라를 보다 더 많이 알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더스 문명은 왜 붕괴했을까?

인더스 문명은 700년 동안 안정을 누리는 듯이 보이다가 기원전 1800년경에 붕괴했다. 도시에도 인적이 끊겼다. 인더스 문명이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사라졌다는 사실은 또 하나의 커다란 의문을 제기한다. 과연 멸망의 원인이 무엇이었을까? 이에 관해 지금까지 여러 주장이 나왔다. 앞으로 보겠지만, 그중에는 외부 침략 설도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기후변화를 중요한 요인으로 꼽는 전문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p. 54

    

?

산스크리트어는 그 기원이 무엇이든 놀라운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스어보다 완벽하고, 라틴어보다 어휘가 풍부하며, 이 두 언어보다 훨씬 더 섬세하게 다듬어져 있으면서도, 우연이라고 할 수 없을 만큼 이 두 언어와 매우 유사하다. 동사의 어근과 문법 면에서 모두 그렇다. 어찌나 유사한지, 어떤 학자든 이 세 언어를 조사하고 나면 그들이 같은 원천에서 생겨났다고 믿게 될 것이다. 그런데 그 원천이 이제는 사라지고 없을지도 모른다.

-p. 61

 

-문명의 성장:세계와 만나다

무역은 문명의 핵심 요소 중 하나다. 문명은 무역을 통해 서로 접촉해서 자신의 사상을 남에게 전파하기도 하고 남의 사상을 시험해보기도 하면서 성장한다. 식민지 시대의 글과 역사 문헌 때문에 우리는 대개 인도에 대해 과거에 붙들려 시간이 멈춰버린 문명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하지만 사실 인도 문명은 지금까지 계속 다른 문명과 대화를 나누며 성장하고 변화해왔다. 인도 역사라는 거대한 물결은 위대한 토박이 왕조들을 낳았을 뿐만 아니라 위대한 외국인 통치자도 만들어냈다. 그리고 외부의 사상을 받아들이는 것은 인도인에게 항상 삶의 일부였다. 인도는 다른 문명과의 대화를 통해 수많은 위대한 발전을 이룩했다. 이러한 대화가 처음 시작된 것은 인도의 배가 걸프 지역과 교역에 나선 하라파 시대부터였다. 페르시아 제국과의 접촉은 기원전 500년부터 점점 더 빈번해졌지만, 지중해와 인도반도 사이에 통상적인 뱃길이 열린 것은 기원전 마지막 몇백 년 동안의 일이었다.

지중해까지 향신료 무역로가 열리면서 로마와 인도 남부 여러 왕국 사이의 접촉이 활발해졌다. 그리고 실크로드의 발달은 중국·유럽·인도 사이의 접촉을 더욱 넓혀주었다. (……) 역사가 에드워드 기번은 이때가 세계 역사상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고 보았다. 그런데 믿기 어려운 이야기이지만, 이처럼 여러 문명이 서로 접촉하는 데 가장 커다란 동기를 제공한 것은 어떤 잡초의 열매, 즉 후추였다.

-p. 162~163

 

많은 분량의 이미지와 역사적 자료들을 읽다 보니 인도가 어느새 내 공간에 들어와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두툼한 책 한 권을 통해 인도라는 나라를 여행하는 느낌까지 받게 하는 책 인도 이야기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