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 선사 시대 ~ 남북국 시대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1
최태성 지음, 신진호 그림 / 다산어린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깐 배움을 멈추고

책을 덮고

가만히 생각해봐요!

나는 누구인지 나는 어떻게 살 것자주,많이 생각해 

잠깐 배움을 멈추고

책을 덮고

가만히 생각해봐요!

나는 누구인지 나는 어떻게 살 것인지

자주,많이 생각해 봅시다.

저자의 서문중에서


어린이를 위한 역사의 쓸모 2가 나왔다. 1에서 전과 다른 역사책을 만났고, 큰*별샘 최태성 나름 스타 강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계신 역사스토리텔러가 아닌가 싶다. 역사를 이렇게 만나고 싶었다. 년도 외우기와 어려운 한자 나열씩의 시험을 위한 역사 공부가 아닌 인문학적으로 그리고 나를 만나기 위한 여행으로 나의 생각을 틔워 주기 위한 도구로 이책을 통해 왜 역사가 공부해야 하는지, 역사는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를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정감있고 부드러운 톤으로 자상하게 이야기 해주시는 책이다

쓸모 2에서는 고려시대~조선 전기에서 인물을 중심으로 질문을 던지고 / 역사 스토리텔링/ 생각 방향과 재료를 가을빛 다홍색 인덱스 글씨로 던져준다.


왕건은 고려를 세운 왕이다. 신라가 무너지기 전 골품제로 유지 되어 오던 신라는 그들의 철옹성 체제가 무너지게 된다. 완전하게 신라의 나라로 통합하는데는 실패 한 것인지 견휜의 후백제, 궁예의 후고구려가 일어나게 된다. 왕건은 궁예의 부하였다고 한다.세인물을 통해 리더쉽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견휜은 뛰어난 전투력과 승부사의 기질이 있었고 옛 드라마에서 에꾸눈으로 연기한 배우가 떠오르는 궁예는 관상법으로 자기를 신으로 여기며 마음대로 나라를 휘둘렀구나 생각이 든다.그런 사이에서 왕건의 인품이 더욱 더 조명을 받았다. 왕건을 따르는 사람이 많아지고 그는 후삼국을 잇는 고려의 왕이 된다.


고려의 뒷받침 하는 세력은 호족이다. 신라시대의 골품제도에 한계로 높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한 6두계품으로 그들은 초반에서 고구려의 원대한 꿈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로 시작하지만 결국도 그들만의 세력 구축에 몰두하며 계속 되는 외세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최초의 원대한 꿈들이 사그라져 갔다는 것이 아쉽다. 그렇지만 거란, 전세계를 호령했던 몽골의 침입속에서도 끝까지 버티며 자주국가로의 존엄을 잃지 않았다는 것이 참 자랑스런 대목이다. 그당시의 외교적인 역량을 발휘한 고려 전기의 인물 서희의 외교 담판으로 거란으로 부터 전쟁 없이 강동 6주를 얻을수 있게 되고 후기에는 고려왕 원종이 그 당시 상황을 잘 간파하여 우리의 주권을 지켰다는 역사적 사실이 마음을 뭉클하게 한다. 


고려의 호족들이 만들어낸 문벌은 신라시대 골품제도처럼 그들만의 권력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몽골의 위세에 몽골에 충성하겠다는 의미로 왕들의 이름에는 충이란 자를 넣어야 하고 조공과 왕자들이 인질로 잡혀가는 볼모국에 신세인 고려의 나라를 새롭게 한 왕이 있다. 공민왕이다. 그는 몽골의 세력의 약화를 틈타 몽골의 지지하는 친원파 세력을 약하기 시키기 위해 신진사대부를 적극적으로 관료를 등용하면서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킨다. 이때 향리의 아들 아버지가 중앙관료가 되지만 외할머니가 노비라는 신분의 한계로 늘 설움을 받게 되는 정도전과 백번 싸우면 백번 이긴다는 이성계 명장과 함께 힘을 합쳐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게 된다. 


조선의 나라를 꽃피우는 왕을 만나게 된다. 세종대왕 우리나라에 가장 자랑스런 왕이요 한글 창제로 한자문화권에서 독자적인 문자를 가진 나라 문화 강국의 기초를 만드신다. 이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존경하는 마음이 더 깃든다. 20시간씩 국정일을 하시느라 자기 몸을 돌보지 못한 왕, 자신의 왕권 사대부가 아닌 백성을 사랑하고 그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학자를 모으고, 사람을 모으고 연구하고 , 행동하신 왕이다. 그왕에게는 그에 걸맞는 재상이 있었다. 나에게는 낯선 이름이었는데 맹사성이란 분이 있었다. 황희정승만 알았는데 이렇게 백성과 허물없이지내며 청렴한 관료가 있었다니 놀랍다.


세종 대왕은 시대 너머를 

상상한 왕이었어요. 


역사는 우리를 더 멀리 

바라보게 한다.

고려의 광종의 <노비 안검법>과 공민왕의 < 정민변정도감>을 기억하고 싶다. 나라의 세운 끓는 피를 가진 새로운 세력은 나라가 안정화가 되가면서 권력 앞에 무너짐을 보게 된다. 그리고 과거에 답습했듯이 자기의 권력을 단단하게 움켜지며 사람의 모습을 잃어가게 된다. 위의 두정책은 철옹성 같은 권력을 약화 시키고 새로운 세력을 불러 일으킨 법이다. 그들의 권력을 이용해 차지한 불공정한 노비들을 자유하게 풀어주자는 법인데 우리 나라에서 계속되는 권력층과의 그것에 대항하는 세력과의 시소의 대결이 계속 되어왔던 것 같다. 권력층의 집중은 많은 폐해를 낳고 권력욕에 사로잡히게 되면 백성들의 처절한 삶으로 이어진다.

이책을 읽어 가며 위기의 순간에 권력층의 이동과 역사상 만나고 싶은 역사의 인물을 통해 나를 담가 보았다. 리더십에 대해서, 권력욕에 대하여, 세상을 꿰뚫어 볼수있는 지혜, 편견의 마음, 시대를 넘어서 볼수 있는 지혜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었다.


우리의 역사는 갈대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강대국에서 의해 휘둘리고 여러 어려움이 계속되어 왔지만 포기 하지 않았고 우리 나라를 백성을 뜨겁게 생각한 위인들이 있음을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