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일생 - 탄생에서 죽음까지, 생명 활동의 무대에서 펼쳐지는 은밀하고 역동적인 드라마
나가타 가즈히로 지음, 위정훈 옮김, 강석기 감수 / 파피에(딱정벌레)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단백질의 일생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서적도 마찬가지이겠지만 과학에 대한 대중서적은 서술 방식에 있어서 한계를 같고 시작할 수밖에 없다. 쉽고 친숙하게 서술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이는 쉽지 않다. 개념 하나하나를 설명하면서 개념과 개념과의 연관성을 이어가면서 책을 써나가야 하기 때문에 입문자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교과서에 가까울 수 있다. 만약 자신에게 익숙한 분야라면 소설책 읽듯이 쭉 읽어갈 수 있겠지만, 문외한의 입장에서는 정말로 한 장 한 장 공부를 하면서 읽어야 겨우 이해가 가능해진다. 물론 어려운 책을 한 권 읽어냈을 때의 쾌감은 대단하다. 하지만 삶의 다른 분야로 파급되기 어려운 책을 한 장 한 장 공부하면서 읽어가기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책 단백질의 일생은 단백질이란 존재를 하나의 소우주인 생명체로 이해하고 탄생, 성장, 수송, 죽음 등으로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전문가인 저자가 심사숙고하여 쉽게 쓰려고 했다고는 하지만 한 페이지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새로운 개념들을 감내하면서 책을 읽어가기란 일반 독자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감수자가 여러 말로 칭찬하는 글을 썼다고는 하지만 생물학 분야에 대한 문외한으로서 이 책을 이해하는 시도가 무의미하게 느껴졌다. 생물학에 대한 설명을 다른 분야로 확대하여 설명하려했다면 그나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도 있었을 텐데, 단백질에 대한 충실한 설명으로 가득 찬 책인지라 그럴 만한 기회도 없었다. 단지 단백질도 하나의 소우주와 같다는 천편일률적인 말만 기억에 남는다.

 

본문의 첫 장에 나오는 생물학 용어를 나열해 보면 액틴(actin), 미오신(myosin), 콜라겐, 세포외기질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그나마 콜라겐은 어디서 들어본 것 같은데, 나머지 3개의 용어는 별나라 용어 같다. 첫 장에 나오는 그림(그림1-1)은 아미노산의 기본 구조 분자식인데, 아미노산은 많이 들어봤는데, 펩티드결합과 분자식은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뒷장의 내용도 한번 쭉 넘겨서 봤는데 정확히 이해하려면 한 달은 읽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질려 버렸다. 아무래도 책을 잘못 선택한 것 같다. 그래도 생물학 개론에 관한 교양서적이라면 시도라도 하겠는데 엄두가 나지 않는다. 2008년에 일본 저자가 쓴 책을 10년이 넘어 2018년에 한국에서 번역한 책이라 좋은 책일 것 같다는 생각은 들지만 일반 대중을 향한 교양서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최소한 생물학 분야 전공자 내지 생물학 덕후들에게나 어울리는 책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