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이 답이다 - 생각을 성과로 이끄는 성공 원동력 20
이민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변화가 일어나려면 반드시 다음 두 가지가 필요하다. 첫째, 현재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될 절박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둘째, 어떤 일이 있어도 원하는 목표를 달성해야 할 간절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변화를 원하면서도 변화하지못한다는 것은 현재 상황이 그리 절박하지 않고 간절하게 원하는 것도 없다는 뜻이다. 그 상태로는 절대로 변화에 성공할 수 없다. TV에 출연했던 ‘공신(공부의 신‘ 한 명은 이렇게 말했다. "공부는 열심히 하는 사람보다 즐기는 사람이 더 잘해요. 그런데 즐기는 사람보다 더 잘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아세요? 급한 사람이에요. 제게는 공부밖에 할 수 없는 ‘절박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이 자리에설 수 있었어요. 저도 사실 공부는 싫었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행이 답이다 - 생각을 성과로 이끄는 성공 원동력 20
이민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 ‘생생하게 상상하면 꿈이 현실로 바뀐다‘는 말은 오래전부터 자기계발 서적에서 주장하는 단골메뉴이자 이 분야의 강사들이 만고불변의 법칙처럼입에 침을 튀기면서 강조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이런 말을 철석같이믿는 사람들에겐 미안한 일이지만 한 가지 나쁜 소식을 전하지 않을 수 없다. 안타깝게도, 많은 경우 그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간절히 원하고 생생하게 상상만 해도 꿈이 이루어진다‘는 식의긍정적인 자기최면은 실제로는 생각보다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장애가 될 수도 있다. 심리학자 리엔 팜Lien Pham 은한 집단의 대학생들에게 중간고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장면을
"매일 생생하게 상상하라고 하고 그런 요청을 하지 않은 대조집단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예상과는 달리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상상했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오히려 공부시간도 적고 성적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간절히 원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거나 생생하게 상상하면뭐든 이룰 수 있다고 철석같이 믿는 사람들 중에 크게 실패한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행이 답이다 - 생각을 성과로 이끄는 성공 원동력 20
이민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 우리는 매일 새로운 결심을 한다. ‘아침운동을 시작해야지‘ ‘나쁜 버릇을 고쳐야지‘와 같은 생활 속의 작은 결심에서부터 ‘10년 후에는 CEO가 될 거야‘ 같은 큰 결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결심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작심삼일로끝나거나 용두사미로 흐지부지되고 만다. 그러면 우리는 한숨을 쉬며 이렇게 자책한다. "나는 왜 항상 이 모양일까?"
 실행력은 곧 의지력이며, 의지력은 타고나는 자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결심을 작심삼일로 중도포기하고 난 후 스스로를 ‘의지박약자‘ 라고 책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그건 틀린 생각이다. 실행력은 타고난 자질이 아니라 배우고 연습하면 누구나 개발할 수 있는 일종의 기술 Skill이다. 실행력이 부족한 것은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라 아직 효과적인 방법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받을 권리 - 상처 입은 나를 치유하는 심리학 프레임
일레인 N. 아론 지음, 고빛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까지 우리는 ‘못난 나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왔다. 과거에 우리는 스스로가 변변치 않은 존재라고 생했다. 스스로에게 이런 말을 하면서 말이다. "나는 패배자야. 나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존재야.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지 않는 건당연해." 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 모든 생각이 불합리하고 틀렸다 는 것을 안다. 그리고 각자 사용하는 방어기제가 무엇인지 꿰뚫어볼 수 있게 되었다.
 때로 내면의 ‘못난 나는 우리를 어두컴컴한 혼란 속에서 빠져나 오지 못하도록 만든다. 그러다가 우연한 외부 사건을 계기로 스스로를 얼마나 평가절하해 왔는지 깨닫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성과 함께 점심을 하면서 상대가 지루하고 따분해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해보자. 우리는 상대가 다시는 연락하지 않으리라고 믿는다.
그런데 다음 날 상대에게 또 만나고 싶다는 전화를 받는다. 예상시 못한 연락에 우리는 깜짝 놀란다. 이런 외부 사건들은 스스로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기회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받을 권리 - 상처 입은 나를 치유하는 심리학 프레임
일레인 N. 아론 지음, 고빛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여섯 가지 방어기제ina 부정적인 상황이나 긍정적인 상황에서 기대자신의 역할을 부정하거나 약화시키는 것.

외부 요인 탓하기Blaming 실패하거나 좌절했을 때 실제로는 그렇지 안아음에도 남들이나 환경이 불공정했다고 비난하고 탓하는 것

경쟁에서 빠지기Noncompeting 일의 중요성이나 순위 매기기를 부정하고무슨 수를 써서든 관계 맺기에만 매달리는 것.

 과도하게 성취하기Overachieving 높은 지위나 위치에 오르기 위해 끝없이노력하지만 결코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

부풀리기 Inflating 자신이 최고라고 느끼거나 최고로 보여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주목받기 위해 무엇이든 하는 것.

투사하기Projecting 자신의 결함은 부정하고 타인에게서 그 결함타인에게서 그 결함을 찾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