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4년 지구를 생각하면 어떤 것을 꿈꿀 수 있을까요? 푸르고 아름다운 자연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저는 작년 여름이 유난히 더워서 힘들었어요.가을까지 먹어버린 여름을 보면서 환경, 기후 문제가 생각보다 더 빠르게 우리 삶의 목전에서 위협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어요.
<지구, 2084>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공포감을 느끼는 2013년 17살 노라가 등장해요.
"우리 인간이 일으키고 있는 기후 변화에 공포감이 느껴지거든요.
지금 당장 살아가는 데만 급급할 뿐, 후손은 전혀 배려하지 않잖아요.
갈수록 나빠지는 기후와 환경 때문에 자꾸만 앞날이 걱정되고 두려워져요." (24)
그리고 노라의 꿈에 나타나는 2084년 17살 노바.
"그러니깐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건 할머니가 저만 할 때 살았던 세상만큼 아름다운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거예요." (51)
노바의 세상은 지구 온난화로 많은 동식물들이 멸종하고 북극에는 얼음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요. 기후 변화로 인구가 줄고 활기를 잃습니다. 마치 멸종을 기다리는 것 처럼 말이죠.
노바의 세상을 경험한 노라는 적극적으로 동식물들을 구하기 위해 행동하고 아이디어를 모읍니다.
"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동식물 1,001 종의 멸종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152)
노라처럼 우리 정체성의 가장 소중한 알맹이는 지구임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선에서 거기서부터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우리 지구를 지켜야 하고 살려야 함을 다짐해 봅니다.
우리 아이들의 세상. 그 아이들의 아이들의 세상에서 우리의 존재 자체가
미안해지지 않도록 행동하게 하는 <지구, 2084> 였습니다.
이 서평은 라임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