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싱로즈
세르다르 오즈칸 지음, 유정화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표지엔 똑같이 닮은 여자 둘이 장미를 사이에 두고 지그시 눈을 감고 있다. 마치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것처럼.. 아니 어쩌면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표지처럼 미싱로즈는 내 자신의 속사임에 대한 이야기다.
미싱로즈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1부에서는 엄마가 죽기 전 쌍둥이 자매의 편지와 함께 그녀의 존재를 알려주며 그녀를 꼭 찾아달라는 부탁과 하게 되고 다이애나는 얼굴도 보지 못한 메리에 대한 원망과 엄마의 죽음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던 중 항상 엄마와 함께 산책을 하던 거리에서 만난 걸인과 화가 덕분에 메리를 찾아 나서기로 결심하게 되고 2부에선 이스탄불에 도착하여 제이넵 하님에게 특별한 4번의 수업을 받게 된다.
특별한 수업이란 장미의 소리를 듣기 위한 걸로 아마 정상적인 어른이라면 말도 안돼.. 시간이 아까워라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나오는 장미는 바로 자기 자신을 말하는 것 같다.
남들이 이야기해주고 남들의 눈을 통해서 본 내가 아닌 "내가 스스로 말하는 나" 말이다. 과연 우리는 나 자신에 대해 얼마나 이야기 할 수 있을까?
한 문장.. 한줄.. 아니 한 단어라도 나에 대해 표현할 수 있을까..
아마 힘들 것이다. 그리고 작가 역시 쌍둥이란 또 다른 나를 찾는 여행을 통해 다이애나 자신을 찾아주고자 했던 것 같다.
책을 덮은 지금도 나 자신을 설명하기란 참 어려운 것 같다. 아마 나를 찾는 여행은 살아 있는 동안 끊임없이 해야 되는 숙제가 아닐까 싶다.
책 표지에 보면 내가 나에게 주는 가장 아름다운 선물, [어린왕자][연금술사].. 그리고 [미싱로즈]란 말이 있다. 사실 어린왕자나 연금술사의 글이 완성도가 높아서인지 그런 글들에 비하면 미싱로즈는 스토리라인이 허술하고 지루한 편이다. 게다가 어디선가 한번 읽은 듯한 글들이 중간 중간 있어 몰입에 방해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작가의 처녀작이란 점과 나를 찾는 여행을 어렵지 않게 풀어 썼다는 점은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해준다.
“시간이 앞으로 흘러가는 한 우리가 그토록 매혹을 느끼는 미래란 단지 아직 닿지 않은 과거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