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혁명
하루야마 시게오 / 사람과책 / 1998년 1월
평점 :
품절


뇌내 모르핀을 통한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풍요로운 21세기에 웰빙(well-being)이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시도하였고 가끔은 일시적으로 성공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다시 원래의 체중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경험하곤 한다.
어떻게 하면 이런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까? 여기에 해답을 제시해 주는 책이 있다. ‘다이어트 혁명(저자 하루마 시게오)’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간단히 실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 다음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보자.

1. 물 제대로 마시기: 하루에 2리터를 언제 어떻게 마셔야 하는 가?
2. 왜 채식이 중요한지?
3. 스트레스를 음식으로 해소하지 않아야 할 이유는?
4. 다이어트를 하는 것과 자아실현의 욕구는 어떤 관련이 있는 가? 
5. 걷기 운동이 자전거 타기와 달리기 운동보다 왜 더 좋은가?
6. 뇌가 바뀌면 왜 몸이 바뀌는 가?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뇌내 호르몬의 종류와 그것들이 다이어트에 미치는 영향과 바른 식사를 하는 법도 알게 된다. 답을 찾는 여정에 한 번 동참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역사전구결
김재홍 지음 / 이회문화사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주역사전(周易四箋) 구결(口訣) 서평

   

   다산의 주역사전(周易四箋)에는 다산 정약용의 핵심 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예로부터 동양 고전이라 하면 흔히 사서삼경을 드는데 이중에서 주역(周易)을 으뜸으로 여겼다. 공자님께서도 주역을 읽어서 주역책의 가죽 끈이 세 번 이나 끊어지지 않았던가! 이탈리아의 르네상스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라는 걸출한 인물이 있었다면 우리나라에는 다산 정약용이라는 뛰어난 천재가 있었다. 다산의 학문은 두루 미치지 않은 곳이 없었다. 그러나 다산의 학문의 뛰어남은 오히려 파란만장한 인생역정의 부산물로 볼 수도 있다.  

  다산선생에게는 18년 동안의 강진에서 유배생활이 자신의 학문을 차분히 정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가 남긴  수많은 저술 중에서도 1표(경세유표) 2서(목민심서, 흠흠신서)가 가장 유명하다. 그러나 다산 선생 자신은 여유당 전서에서 정작 자신의 학문의 정수를 1표 2서에 두지 않고 오히려 주역사전과 상례사전에 두었다. 그리고 500년 후에나 자신의 학문에 대한 후학들의 질정을 기다린다는 생각에서 호를 사암(俟庵)이라고 지었다. 21세기에 이른 지금의 우리들에게 상례사전의 시대적 의미가 퇴색되어 가는 것을 생각한다면, 주역사전 이야말로 다산 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학자와 지식인들이 쉽게 주역을 읽어보고 싶어 하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다. 주역의 한문이 너무 어렵기도 하고, 주역의 체계가 워낙 복잡한 탓이기도 하다. 다산은 이런 것을 간파하여 5년간에 걸쳐, 후학들이 길을 잃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주역을 이해 할 수 있도록 4가지 방법(四箋)과 3역(三易)으로 정리하였다. 4전이란 퇴이(推移), 물상(物象), 호체(互體)와 효변(爻變)이다. 아울러 3역이란 교역(交易), 변역(變易)과 번역(反易) 이다. 이와 같이 4전과 3역의 간단한 원리로서 중국의 역대학자들도 해결하지 못했던 64괘를 간단히 정리했다.  

  오늘날 사람들이 주역사전에 접근하는 것은 200여년 전 사람들이 어렵게 여긴 만큼이나 어렵다. 함재 선생께서는 30여년 이상을 다산주역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결과물이 지금 우리들의 눈앞에 있는 주역사전 함재 구결본(周易四箋 涵齋口訣本)이다. 함재 선생은 “~하니라, ~하니, ~컨대” 등의 현토와 아름다운 우리말을 살려 풀이하여 후학들이 주역사전을 공부하는데 길라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주역사전 함재 구결본을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먼저 사암선생주역사전구결서(俟庵先生周易四箋序)를 펴볼 일이다. 서문에서 주역의 원리와 다산의 주역사전을 읽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요약하여 정리해 놓았다. 먼저 읽어 보기를 권한다. 또한 다산 선생께서 주역을 읽는 18가지의 요지를 정리해 놓은 독역요지(讀易要旨)를 여러 번 반복하여 꼼꼼하게 읽어 보는 것이 주역사전을 이해하는데 가장 빠르고 좋은 길이 될 것이다.  

  주역을 이해하면 응용할 수 있는 영역이 아주 많다. 그 한분야가 바로 한의학이다. 오운 육기와 더불어 우리의 오장 육부가 조화로운 균형상태를 수화기제(水火旣濟)라고 한다면, 수승화강(水升火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우리 몸이 병에 걸린 상태, 즉 불균형 상태이자 어그러진 상태를 화수미제(火水未濟) 라고 할 수 있겠다.  

  훌륭한 삶의 지침서인 주역을 이해하고 아울러 한의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주역사전구결을 권한다. 이 책을 열심히 궁구하다 보면 한문에 대한 문리(文理)가 저절로 터지게 되고 직독직해(直讀直解)하는 능력이 생기는 것은 독자가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보너스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조리 (최옥자 외)
최옥자.장보주 지음 / 효일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중국 조리에 대한 이론과 실전을 두루 겸비한 체계적인 책
 

지구촌 시대에 국적을 불문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나 가장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중국음식을 손꼽는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 이다. 국토면적이 넓다 보니 음식의 종류가 다양하고 아울러 다양한 조리법이 발달되었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크게 1부와 2부, 3부, 그리고 부록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는 1장부터 6장까지 중국조리에 대한 이론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부에서는 중국요리의 실제를 다루고, 제3부는 과일깍기와 식품조각, 부록에는 국가기술검정실기시험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1부의 구성>
제1장에서는 중국조리의 역사적, 지역적 발단과정과 중국음식의 특징 및 중국음식과 서양음식을 비교,

제2장에서는 중국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설비 및 조리기구와 그릇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조리재료의 특성과 조리방법에 따른 칼의 형태와 써는 방법 및 용도를 알려주고,

제4장에서는 중국음식을 맛있게 만드는 방법, 즉 조리방법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특히 열채와 냉채로 분류하면서도, 중국적 조리의 특징이자 핵심인 ‘열채’에 대한 자세한 고찰은 독자들에게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지’를 설명해주는 이론적 근거가 탄탄하다고 하겠다. 상대적으로 종류가 적은 ‘냉채‘에 대한 소개도 조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조미(調味)라고 하는 특별한 챕터를 별도로 마련하여, 맛의 기본이 되는 오미(五味)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맛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내는 복합미(複合味)를 고찰하였다. 21세기 웰빙시대를 맞이하여 ’웰빙식‘ ’건강식‘이라는 개념이 음식을 먹는 사람과 만드는 사람 사이에서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는 데, ’맛이 계절의 변화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어떻게 조미할 것인가‘를 독자들을 염두에 두게 한다. 다양한 음식의 종류 만큼이나 다양한 조미료를 소개하고, 조미할 때 주의할 점을 소개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우리들이 흔히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고 말하듯이, 중국음식이 주는 먹는 즐거움에 머무르지 않고, 보는 즐거움 나아가서 예술적인 음식의 경지에 까지 이르게 하는 식품조각(食品彫刻)을 소개하고 있다.

<제2부> 중국요리의 실제
제1장에서는 중국요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50가지의 열채(熱菜)를 맛깔스런 사진과 더불어 만드는 방법, 그리고 참고사항을 요점으로 잘 정리해 두었다.

제2장에서는 우리들이 흔히 먹는 6가지 냉채(冷菜)를 맛깔스런 사진과 더불어 만드는 방법, 그리고 참고사항을 요점으로 잘 정리해 두었다.

제3장에서는 우리가 흔하게 먹는 자장면과 물만두를 포함하여 26가지 면요리(面食)를 맛깔스런 사진과 더불어 만드는 방법, 그리고 참고사항을 요점으로 잘 정리해 두었다.
 

<제3부>과일깍기와 식품조각-주로 파티나 큰 잔치에서 분위기를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장에서는 6가지 과일깍기로 단순히 과일을 깍는데 그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운형통(官運亨通)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과일깍기 작품은 먹는 즐거움과 보는 즐거움, 아울러 축하 및 출세가도를 기원하는 뜻을 음미(吟味)하게 한다.

제2장에서는 식탁에서나 파티장에서 보는 즐거움과 의미(意味)을 더해 주는 입체적인 장미모양과 용을 비롯한 40가지 식품조각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현재 시판되고 있는 조미료를 소개하고, 중국의 다양한 조각칼과 중국칼, 월병판과 밀대, 찜기 등을 보여주고 있다.

<부록>에서는 중국조리사 국가기술검정자격실기시험를 수록하였는데, 가장 익숙한 탕수육과 고추잡채를 포함한 20가지 조리문제와 만드는 방법, 수검자 유의사항, 참고사항을 적어두어 자격증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