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컵마을
신나군 지음 / 월천상회 / 2023년 7월
평점 :
단절과 고립에서 벗어나려면....

표지그림을 보면 여러 종류의 강아지가 신나게 춤을 추고 있어요.
마냥 즐거워 보입니다.
혼자 춤을 추고 노는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서로가 서로를 바라보며
환하게 웃고 있어요.
그래서 모두가 행복하게 보이나 봅니다.
“우리 집은 종이컵이야.”
“나는 컵마을에 살아.”
알록달록한 컵이 즐비하게 줄을 지어 서있는
컵마을
그곳에 있는 가장 얇고 힘없는 종이컵에 사는 아이
각자의 컵 집에서 나오지 않는 컵마을 사람들
누구에게도 관심이 없어 보이고
누구도 다른 이에게 관심을 받고 있지도 않는 마을
죽은 것 같은 마을에
한 소녀가 컵 밖으로 나와요.
산책을 하다 오랜 시간 혼다 떠돌아 다닌
강아지를 만나고
그 강아지에게 이름을 붙여주고 함께 살게 되죠.
그렇게 살면서
표정이 없던 소녀의 얼굴에 표정이 나타나요.
강아지에게도 살아 있는 표정이 보입니다.
그리고 둘은 버려진 강아지를 집으로 초대해 같이 살게되지요.
종이컵 집은 시끌벅적 북적북적
마을 산책할 때 깡충 깡충
컵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컵 밖이 궁금해졌고,
그렇게 사람들은 하나 둘 컵 밖으로 나오지요.
스스로 밖과 단절 시키며 살고 있는 컵마을 사람들
컵속에 틀어박혀 있는 컵마을 사람들을 보면서
지금 우리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요
컵은 개인적이며 단절된 개개인의 삶의 모습이고,
컵마을은 함께 있지만 실은 고립된 채 살아가는 우리 삶의 공간입니다.
이렇게 조용하고 단절되고 고립된 삶을 살아가는
컵마을의 힘 있는 발걸음으로 사람들에게
밖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한 것은
다름 아닌 버려지고 소외된 강아지들이었어요.
소녀에 의해 이름이 불려지고
소녀와 함께 세상을 살아가게 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고 따뜻함을 함께 나누는 사이가 된 것이지요
강아지에게 같이 살자고 손을 내민 소녀의 용기가
돋보이는 그림책입니다.
소녀의 용기가 컵마을 사람들을
서로 연결해주고 있어요.
“나는 컵마을에 살아.”가 “우리는 컵마을에 살아”로
바꾼 정말 소중한 용기지요.
컵마을 사람들은 이제
더 이상 컵을 세워놓지 않아요
마치 꼭꼭 닫아 잠근 우리의 대문을 열어야 하는 것처럼요
꼭꼭 닫아 잠근 마음의 문을 열어야하는 것 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