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ㅣ 우리 그림책 39
허아성 지음 / 국민서관 / 2022년 5월
평점 :


책 덮개를 보면 정말 아름다운 섬이 펼쳐져 있어요.
햇살이 좋은 어느 날, 평화로운 바닷가에
빨간 수영복을 입은 아이가 빨간 뚜껑의 병을 옆에 두고
파란색 자리를 깔고 앉아서 평온한 바다를 바라보고 있어요.
책 덮개를 벗기면 충격적인 표지가 툭 튀어나옵니다.
온갖 쓰레기로 잠식당한 것 같은 어느 섬,
우리가 먹고 버린 온갖 쓰레기가 가득한 섬이에요.
고래가 서서 죽어 있고,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로봇의 뒷모습!
상당히 충격적이죠.

책 덮개에 등장한 빨간색 수영복을 입은 소녀가 빨간 뚜껑 병에
조개껍데기랑 소라랑 편지를 담아서 바다에 띄워 보내요.
빨간 뚜껑병은 깨끗하고 파아란 바다를 여행해요.
갈매기를 만나 인사도 하고
폭풍우도 만나고 큰 파도에 밀려 바다 깊은 곳까지 가게됩니다.
그리고 잠잠해진 바다에서 만난 거북
목과 꼬리가 거물에 걸려 있는 거북입니다.
그렇게 빨간 뚜껑 병은 거북을 따라
쓰레기 섬으로 가게 됩니다.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는
플라스틱을 줄이자는 직접적인 말은 하지 않아요.
그저 플라스틱병의 입장에서 잔잔히 플라스틱으로
오염되어가는 바다를 보여주고 있어요.
쓰다 버린 그물, 바다를 달리는 배에서 나오는 오염된 기름, 먹다 버린 빨대, 병 바구니, 비닐봉지 등등 수도 없이 많은 플라스틱제품,
그리고 배를 드러내고 죽은 고래, 바닷물 위에 둥둥 떠 있는 죽은 물고기,
오염물질을 뒤집어쓴 갈매기 등이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등장해요.
빨간 뚜껑 병은 자기가 떠나온 섬을 생각해요. 여기와 완전히 다른 풍경이지요.
우린 너무 잘 알아요.
우리가 쓰다가 버린 플라스틱이 어떻게 지구를 병들게 했는지.
버리기는 쉬운데 병들기는 쉽지만 병든 지구를 다시 떠나온 섬으로 만들기는 굉장히 힘들고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요.
나 자신을 돌아봐요.
커피점에서 커피 마실 때 텀블러를 소중히 잘 챙겨가는지,
손수건은 챙겼는지, 부채를 챙겼는지...
오늘처럼 환경 관련 책을 보면 경각심이 생겨
신경을 쓰지만
시간이 조금만 흐르면 다시 잊게 됩니다.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와>는 책 덮개를 벗기면 나오는
책 표지가 충격이라 조금 더 오래갈 것 같아요.
지금 우리 주변에는 환경이 오염되어서 다시 우리를 괴롭게 하는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어요.
이런 문제는 몇몇 사람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워요.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가 모두 노력해야만 하는 일이지요.
아주 작은 실천을 꾸준히 날마다 할 때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을
스스로 지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