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네 시의 놀이터 상상문고 14
제성은 지음, 정은선 그림 / 노란상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육아는 부모에게도 언니 오빠 누나에게도 조부모에게도 힘든거지요.

그렇다고 아이 없이 가정을 꾸릴 수는 없는 거잖아요.

그래서 황혼육아 할빠 할마라는 신조어가 등장하는 게 아닌가 해요.

이 책 네 시의 놀이터도 그런 이야기랍니다.

직장을 다녀야 하는 바쁜 엄마와 아빠를 대신해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육아를 담당하는 이야기요.


 오후 네 시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이죠.

아이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돕기 위해 부모님 혹은 

언니 오빠 형 누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마중을 나오죠.

아이들을 데리고 집으로 가는 길에 놀이터에 들리고

오후 시간을 놀이터에서 보내면서 자연히

육아를 맡아 하는 사람들은 서로의 이야기를 하기도하고

좋은 정보를 나누기도 하지요.

그러다 아이들의 싸움이 어른 싸움이 되기도 하고, 그렇게 싸우다가

어떤 계기가 마련되면 서로 화해하고 친하게 되는, 그래서 오후 네 시의 놀이터는

언제나 북적이고 이야깃거리가 많지요.

 

 

지민이와 시아도 그렇게 친구가 돼요.

어린이집을 다니는 동생을 둔 두 친구는 어느새 절친이 되고,

그렇게 할머니 할아버지를 자연스럽게 육아를 돌보는 엄마로 받아들이지요.

지민이 할머니와 시아 할아버지의 관계를 회복해가는 과정에서

황혼육아의 어려움과 자신은 돌보지 않고 오로지 자식을 먼저 

생각하는 우리 시대 부모님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물론 자식들은 자기 자식이 우선이지만요.

부모와 자식 사이의 갈등이 등장하지만 그건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아 보여요 이 책에서는 

시아 할아버지와 지민이 할머니의 이야기가 저에게는 더 마음을 움직이게 해요.

과학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기계가 등장하고 그 기계를 능숙히 

다뤄야만 육아도 수월해지는 세상이 된거지요

지민이 할머니와 시아 할아버지는 아이들과 음식점을 찾아서 주문을 하려다

무척 애를 먹지요.

주문 기계 키오스크를 제대로 다루지 못해서요. 그렇지만

두 분 할머니, 할아버지께서는 포기하지 않아요.

집안 일이 힘듦에도 항상 따뜻한 사랑으로 손주들을 돌봐주시고

새로운 문물 사용에 대해 두렵다고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용기를 내어 도전하잖아요. 그리고 마트 쇼핑도 하시구요.

그렇게 두 분은 삶을 배워가지요. 아이들을 위해, 아니 어쩜 자신들을 위해서요.

시대가 변하고 환경이 변하고 아이를 키우는 방법도 변하지요

우리가 아이 키울 때는 그렇지 않았는데가 아니라 변화한 환경에 맞게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해줘야 하는 그러면서도 

믿음과 사랑이 듬뿍 담긴 육아가 그래서 더 힘들 거라는 생각을 해요.

 

저도 아이를 키울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았기에 그런 심정을 더 잘 알아요. 믿고 맡기지만 한순간 서운한 감정이 올라오면 마음에도 없는 말을 막 하는 저 자신을 탓한 적도 있어요.

지민이 엄마도 그러잖아요. 아이가 다치니 모두가 할머니가 잘못해서 그런 것처럼 말하지만

실상은 그게 아니란 걸 나중에 알게 되잖아요.

 

저도 언젠가는 할마가 되겠지요

아이들이 자라서 가정을 꾸리게 되면 그때 

지민이 엄마처럼 내 아이들이 나에게 부탁을 하면 

저도 거절을 하기 쉽지 않을 것 같거든요.

 

할빠, 할마가 육아를 함께 해가면서 서로 공감하고 배려하는 모습이 참 좋았어요.

파킨슨병을 앓으면서도 지민이 할머니가 동네에 잘 적응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서

정성스럽게 공책에 적어 보낸 할아버지의 마음이 짠하게 다가옵니다.

그리고 지민이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떠난 자리를 

다른 할마가 다가오면서 메워가잖아요.

시아 할아버지가 지민이 할머니에게 했듯이, 지민이 할머니는 

소윤이 할머니에게 먼저 말을 건네면서 또 다른 이웃이 되는 거잖아요.

모두의 할아버지이자 할머니, 그리고 모두의 엄마이자 아빠의 

마음으로 우리가 되어 서로에게 따스한 손을 내밀면 더 좋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