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자 선언 - 판사 문유석의 일상유감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주의자 선언 이라니. 


우리나라에서 '개인주의'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이미지와 
'선언'이라는 당당함이 조합된 제목에서 느껴지는 건
차가움. 냉소. 시니컬이었다. 

게다가 표지 옆에 써 있는 '판사 문유석의 일상유감'.
판사라는 멀게만 느껴지는 사람의 일상이라. 참 공감 안되겠다. 싶었다. 
그럼에도 도서관에서 이 책을 빌려 온 이유는 
아마 요즘 계속 나를 휘감고 있는 분노와 불만, 냉소..
이런 것들 때문이었던 것 같다. 
'그래, 나도 이런저런 괜히 고민하지 말고 내 행복만 생각하며 살자.'
뭐 이런 비슷한 마음으로... 그렇게 밁기 시작했던 것 같다. 

판사가 쓴 글이라고 하니 재미에 대한 기대는 별로 없었는데, 
아니 이런. 일상의 언어로 재미있고도 깊이 있게  
정리된 그의 생각들은 읽기에도 너무 편안했다.

물론 본인의 학창시절 이야기를 하는 부분들...
특히 음악과 연애에만 빠져있다가 나중에야 먹고살기위해 
힘겹게 공부해서 겨우 사시에 합격 했다는 등의 이야기를 
읽고 있자니 참 공감도 안되고 먼 나라 다른 시대 얘기 같았다. 

본인의 속독, 아니 다독을 이야기 하는 부분에서는 
왜 나는 어릴 때 활자 중독증 같은 게 안걸렸나 싶은 생각에
부러움으로 나 자신이 원망스러웠다. 

판사로서 여러 재판 과정을 통해 만난 사람들과 
세상 이야기들.. 그리고 그에 대한 작가의 생각들은 
개인주의자 선언 이라는 제목과는 달리 따뜻했다. 냉소적이지 않았다. 

이 책 출판 이후에 소설을 냈다고 한다. 
이 분의 책에 몹시 흥미가 가긴 하는데. 소설이라니.. 선뜻 읽을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순문학 작품들은 장르소설 같은 즉각적인 몰입이나 인문학, 사회과학 서적처럼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나이 먹어가며 점점 순문학에서 멀어진 
느낌이다. 그건 마음의 여유가 없어졌다는 말일지 모르겠다. 책 읽는 시간도 한정된
자원이라고 생각하여 책을 통해 세상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빠르게 얻거나 아니면 
즉각적인 재미를 얻길 원하는 거다. 
온통 문학에만 탐닉했던 소년 시적에는 그런 조바심 따위 없었는데."

위와 같은 격하게 공감하게 되는 구절들이 수없이 등장한다. 
물론, 위 글 단락에서 마지막 줄은 나에게 해당하지 않지만 말이다. 

길어봐야 다섯 페이지 정도의 짧은 꼭지들로 나뉘어져 있는 구성도 
나 같은 독서 초보자에게 안성 맞춤이어서 더 즐겁게 읽었던 것 같다. 

또 한 명의 보물같은 작가를 알게 되어 기쁘다. 





Anyone can be cynical.
냉소적으로 구는 건 누구나 할 수 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