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세계사 - 5000년 인류사를 단숨에 파악하는 여섯 번의 공간혁명
미야자키 마사카쓰 지음, 오근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중학교 시절 절친이었던 친구는 국사와 세계사 시험을 보면 100점을 놓치지 않았다. 다른 과목은 중간 정도인데 유난히 이 두 과목 만큼은 반에서 늘 1등이었다. 지금은 뭘 하는지 궁금하지만 그 친구는 역사가 가장 재미있고 쉽다고 했다. 난 가장 재미없고 외우기 힘들어서 늘 피하고 싶은 과목이었던 터라 그 친구가 신기하기만 했었다.

그런데 '5000년 인류사를 단숨에 파악하는 여섯 번의 공간혁명'이라는 부제를 가진 「공간의 세계사(미야자키 마사카쓰, 오근영 옮김, 다산초당)라는 책을 읽어보니 '이렇게 세계사에 접근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역사'라는 것이 당연히 시간의 흐름을 기준으로 서술되는 학문일 텐데 이것을 총 6번의 '공간의 확장'이라는 개념으로 바라보는 저자의 관점이 독특하다.


이 여섯 번의 공간혁명은 기원전 5천년 경 건조 지대 큰 강 유역에서 거대한 농업공간 형성, 2500년 전 유목민이 이끈 유라시아의 여러 지역 세계 형성, 1400년 전 이슬람 제국에서 시작된 유목민과 상인에 의한 유라시아의 통합, 500년 전 대항해 시대 이후 대양이 대륙을 잇는 대공간과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근대체제의 형성, 200년 전 유럽을 중심으로 철도와 증기선에 의해 형성된 자본공간, 20년 전 인터넷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자공간 등을 의미한다. 특히 마지막 공간혁명을 지리적인 공간을 넘어선 전자공간으로 바라 본 시각이 상당히 신선하게 다가온다.


이 책의 저자인 미야자키 마사카쓰는 고등학교 세계사 교사와 대학교수를 거치며 세계사 교과서 편집과 집필을 담당했다. 더불어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출연하여 세계사 강의를 하는 한편 다수의 책을 집필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사에 대한 뻔한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하겠다. 아사히신문은 이 책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서유럽 중심의 서양사, 중국 중심의 동양사를 넘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중심 공간이 차례로 이동해가는 진정한 세계사의 모습을 그려냈다. - 아사히신문


그렇다. 이 책은 역사의 중심무대가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했는지에 주목하는 것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세계사를 간단명료하게 정리해주고 있다. 일단 세계사에 무관심한 나조차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본 세계사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적절한 자료사진과 그래프, 세계사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지도들은 본문의 이해를 돕고 있다. 400페이지에 육박하는 분량이지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을 수 있었다.

 

 




세계사, 시간이 아닌 공간으로 바라보다
어제보다 나은 오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