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 - 학살과 은폐의 역사
최호근 지음 / 책세상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2005년에 초판이 출판된 책이다. 2022년에 개정판이 출간되어서 그제서야 이 책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왜 지금 제노사이드인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저자는 그에 대해 두 가지로 답한다. 첫째, 제노사이드는 서로에 대한 보복을 유발하여 평화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이다. 둘째, 우리 역시 한국전쟁 당시에 일어났던 학살들을 해결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제노사이드 교육은 역설적으로 평화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주며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적인 예방이다.

시대를 막론하고 제노사이드를 우리가 왜 공부해야 하는지 알려 주는 답이다. 여기에 2022년의 문제의식을 더한다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전쟁을 무시할 수 없는 남한인’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책은 4부로 나뉜다. 1부는 제노사이드의 의미 규정, 2부는 실제 국제법에 근거한 재판 사례들, 3부는 세계사에서 자행된 제노사이드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다. 4부는 한국 현대사에서 제노사이드로 볼 수 있는 사건들을 다룬다.

저자는 제노사이드를 예방하기 위해 국제적 수준의 대책과 국제 여론의 적극적인 관심, 제노사이드 협약 비준을 위해 미가입국가의 여론 형성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내적으로도 제노사이드를 처벌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해야 하고, 역사 교육과 정치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제정치는 도덕률에 따라 돌아가지 않는다. 그럼에도 국제정치에서 제노사이드를 제대로 예방하고 처벌하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에서의 도덕률이 매우 중요하다는 말이다.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아직도 전쟁을 이어가고 있는데, '전쟁범죄'와 '인도에 반하는 죄'를 저지르는 모습이나 정황 증거들이 SNS와 뉴스를 통해 중계되었다. 제노사이드 범죄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세계의 위태로운 평화는 이미 깨졌다. 전쟁을 억제해야 한다는 초국가적 공감대가 다시 필요해진 시점이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 전쟁범죄나 제노사이드에 관한 책에도 관심을 기울였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