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경찰의 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단편 드라마를 보는 듯 어쩐지 글을 읽고 있는데도 생생한 듯 하고 짧고 강렬한 느낌이었다.
단순한 듯 하면서도 애매한 사건들에 살을 붙이고 근육을 만들고.. 히가시노게이고의 글은 이러한 방식으로 독자들을 들어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한다.
운전을 하면서 사소하다고 느껴졌던 것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던 것 같다. 갓길에 잠시 세워둔다던지.. 골목길에 주차를 한다던지.. 빨간 신호로 바뀌기 직전 서둘러 통과하려 한다던지.. 어찌 보면 위험요소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위험하다고 생각해 본적이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이 책을 보고나니.. 아주 작은.. 남들 다 하는 아무 것도 아닌.. 책 속에서 처럼 반전이 다가올까 두려운 마음이 들기도 하고.. 이라고 생각하며 했던 위반을 떠올리며 그로 인해 피해 본 사람이 없기만을 바라게 되었다.
제 아무리 히가시노 게이고라도 약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후 번역이 되어 한국의 독자들에게 읽힘으로 시간의 흐름을 여실히 느끼게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과 그다지 즐겨보지 않는 단편모음임에도 불구하고.. 히가시노라는 이름으로 인해서 선택하게 된 책이었지만 처음 맘에 걸렸던 것과는 반대로 우와~에서 우왁-으로 넘어가는 막판 반전도 잊지 않았고, 약간은 단순한 듯 하면서도 단시간에 스릴을 맛볼 수 있었던 것 같아서 생각보다 아주 재미있었다.

 

본 내용을 다 보고나면 뒤에는 '10년만의 후기'라는 이름으로 작가의 후기가 실려있는데 초년기.. 어떤 작품을 써도 팔리지 않고.. 인정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이것저것 도전하다가 자신이 잘 알고 있는 자동차를 소재로 쓰자고 생각하고 그에 연결짓다보니 교통사고라는 주제가 된 듯하다. 작가가 다니던 자동차 부품 회사에서 실제 실제 교통사고를 낸 직원이 엄격히 다루어지기도 하고, 회의에서도 자주 실제 사례로 자주 등장하였기에 그 때의 경험을 살려 이 글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절대 뺑소니는 쓰지 말자는 다짐을 하기도 했다는 것과 코멘트 중 단편들을 어째서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졌었는지 자신의 생각을 더해서 짧게 이야기 해 주어서인지.. 이 글에서 히가시노게이고의 뭔가 책을 향한 애정이나 개인적인 면을 본 것 같아서 더 좋았던 것 같다.  역시.. 작가들의 코멘트가 빠지면 뭔가 허전한 느낌이라.. 다 읽은 후 마지막까지 좋은 느낌을 갖게 된 듯 하다.

 

처음 이 책을 받아 든 순간부터 자그마하고 아기자기 해 보이는 사이즈에 왠지 형사냄새가 듬뿍 나는 듯한 표지의 입체적인 발자국이 참 맘에 들었던 것 같다. 6개의 각각의 단편들이 강렬하면서도 위트있으며 충격적이기도 하고 가끔은 입이 딱 벌어져 순간 멍- 해 진적도 있었는데 그 덕분에 운전자의 입장으로 참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꼼꼼하게 잘 챙겨져 있는 느낌.. 작고 아담하지만 내용만큼은 아주 크게 다가오는 그런 책이었다.
추리소설이나 미스터리 장르에서는 항상 재미있다는 생각과 이 책을 재미있다고 말해야 하는 걸까?? 라는 생각을 자주 하곤 했는데.. 역시나 교통사고라는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주제로 잘 짜여있는 듯 해  이렇다 저렇다 말할 만한 것이 없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