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캠페인 - 미국을 완전히 바꿀 뻔한 82일간의 대통령 선거운동
서스턴 클라크 지음, 박상현 옮김 / 모던아카이브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언제 암살당할지 모른다는 공포와 트라우마를 겪음에도 군중 속으로 들어갈때 안정감과 기쁨을 가진다는 것은 가능할까? 흥미롭게도 로버트 케네디는 그랬다. 형 존 F. 케네디가 암살 당하고 이후 마틴 루터 킹이 암살 당했음에도 대중을 직접 만나는 것을 꺼리지 않았다. 그것이 자신에게 호의적이지 않고 적대적인 이들이 섞여 있어도 마찬가지였다. 로버트 케네디는 자신이 총에 맞아 죽는 것이 예정된것 처럼 그리고 어쩔 수 없지만 받아들이겠다는 순교자적 모습을 보여준다.

마치 죽음에 초연한것 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폭죽 소리, 자동차 배기음에도 놀라는 그를 보면 형의 죽음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상상하게 한다.

선거에 나가지 않는다는 선택지가 있었음에도 자신의 양심에 따라 나섰다는 점이 더욱 시선을 끈다. 선거에 나선 시점이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그가 가지고 있던 트라우마와 형의 죽음의 그림자와 위험은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무색하게 만든다. 젊은 로버트 케네디에게는 충분히 많은 시간이 있었다.

무엇보다 로버트 케네디가 인상적인 점은 통상적인 정치인들이 취할 전략과는 달랐다는 점이다. 연설하고 접촉하는 유권자에 대하여 그들이 설득되기 좋은 말만 하고 불리한 말은 하지 않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특히나 유권자가 불편해할 발언은 하지 않으려 드는 것이 정치인으로서 능력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로버트 케네디의 행동을 보면 선거에 패배하고 싶어하는 사람 마냥 행동하였다.

대학생징병유예를 받은 진보적이고 베트남전에 반대하여 반전을 주장하는 대학생들에게 반전과 동시에 대학생 징병유예 폐지를 주장한다. 같이 반전운동에 동조하지만 동시에 군대는 가야 한다고 말하며 대학생만이 징병유예를 받는것은 하류층에 대한 차별이라는 사실을 격렬하게 지적하는 로버트 케네디를 보면 선거 유세를 하러 온것인지 강사로 온것인지 햇갈리게 한다. 흑인 수 자체가 적어 흑백갈등이 문제가 적은 오리건주에서 흑인 문제를 말하고 아무도 관심없고 유권자 마져도 소수인 인디언들에게 시간을 할애하며 그들을 위해 행동하는 모습을 보면 대통령이 되기 위해 나온것인지 사회문제를 지적하러 나온것인지 햇갈릴 지경이다.

역시나 예상을 빗나가지 않고 오리건주에서 패배하고 좌절과 몰려드는 피로에 지쳐버린 로버트 케네디를 보면 그가 순수한 열정을 가지고 대통령 후보에 나섰음을 느끼게 한다. 이렇게 바보 같아 보이는 순수함을 보여주는 로버트 케네디가 결국 승리를 거둬가는 모습을 보면 그가 던지는 메세지와 방향성 그리고 일관됨을 유권자들이 진실되게 느꼈다는 점이다.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보여지는 다른 경쟁자들의 행보와 대통령에 당선되지만 후일 워터게이트가 일어나 물러나게 되는 닉슨을 생각하면 정말이지 비교가 되고 만다.

캘리아포니아주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둔 로버트 케네디를 보면 민주당 경선 경쟁자들은 이제 그의 상대가 되지 않아 보이게 된다. 그리고 동시에 로버트 케네디는 그간 자신에게 쌓여왔던 형에 대한 그림자를 떨쳐내는 모습까지 보여준다. 경선과정에서 로버트 케네디는 죽은 형의 도움을 받았지만 동시에 형과는 다른 모습으로 성공을 이끌어냈다. 더이상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동생 로버트 케네디가 아니라 앞으로 미국 대통령이 될 로버트 케네디라는 인물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켐페인은 끝이난다. 마치 처음부터 깔린 복선을 회수하듯이 로버트 케네디는 암살당하였다. 이름과 성이 같은 시르한 시르한에게 암살당하는 결말을 보면 존 F. 케네디의 암살로 시작된 로버트 케네디의 트라우마와 각성이 결국 암살로 끝난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특히나 로버트 케네디가 죽기전 아내와 아이들, 동지들과 유권자들에 대하여 말하지 않고 형을 부른것을 보면 로버트 케네디의 내면을 보다 상상하게 만든다. 결국 로버트 케네디 역시 많은 이들의 기억속에 남게 되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82일간 벌어진 일이다.

아마 여기까지만 봐도 충분하다고 생각할 사람들은 긴글 볼 필요 없이 이 쯤에서 이 책을 골라도 좋다. 그러나 취향이 아니거나 좀 더 다른 생각을 보고 싶다면 쓸데없는 사족 같은 내용까지 보고 소장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도 좋을것이다.

나는 이 책을 보고 순수한 열정을 가진 양심가의 형의 죽음과 자신이 가진 책임에 대한 트라우마 극복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로버트 케네디를 다루기에 대부분 그의 긍정적 면모가 돋보이면서도 간혹 있는 단점과 실수들 그리고 긍정적 면모들로 인한 부정적 면모들에 대한 생각을 안할 수 가 없다.

로버트 케네디가 정말 민주당 경선을 이기고 결국 대통령까지 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는 미국을 변화 시킬 수 있을까? 답은 없지만 그렇기 때문에 의문스럽다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이 순수한 열정가가 마지막까지 경선을 완주하고 대선까지 완주할지는 알 수 가 없다. 암살이라는 요소는 제외하고 그가 안죽었다면 민주당 경선의 남은 경쟁자 험프리를 정말 이길 수 있었을까?

로버트 케네디는 오리건주에서 자신에게 군중들이 모이지 않는 경우 겪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겪었다. 분명 그는 적대적인 이들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일 만큼 매력적이었지만 동시에 취약한 모습을 엿보였다. 만일 오리건주와 같은 패배와 좌절이 연속되었다면 제대로 힘을 낼 수 있을까 싶은 점이다.

또한 흑백갈등과 빈곤문제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그의 의지와 방향성은 놀랍지만 동시에 적대적 세력 역시 늘려가며 결집시켜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도 그의 열광적 선거 캠페인은 다른 편에게 위협감을 주었을 것이다. 물론 지지자가 늘어날 수록 반대자도 분명해지고 모인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로버트 케네디가 정말 모든 이들을 통합할 수 있는지는 끝까지 가봐야 아는 것이다.

분명 진일보하였지만 동일한 문제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흑백갈등과 소수민족 문제를 해결할지라도 하나의 통합이 하나의 분열을 불러오지는 않을까?

로버트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과연 잘 해낼지 역시 미지수이다. 그의 방향성과 메세지는 분명 지금의 미국과 다른 보다 나은 미국을 만들었으리라 생각하게 만든다. 어찌보면 그가 죽었기 때문에 68년의 문제가 아직까지도 지속된다는 생각이 들게까지 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럼 로버트 케네디가 정말 해결할 수 있었을까?

나는 도덕적인 로버트 케네디를 보고 지미 카터가 떠올랐다. 둘이 동일하다고 할 수 는 없겠지만 지미 카터가 결말을 생각하면 성공적일지가 의문스러워 진다. 베트남전 반대는 당연한 것이지만 자신의 양심에 솔직하고 우둔해 보일정도로 이를 지키는 로버트 케네디가 남베트남의 멸망과 보트피플 그리고 여러 국제문제에는 대체 어떻게 대처할까?

물론 이런것은 상상의 영역이다. 그러나 이상적 인물이 이상적 결과를 가져올지는 생각해보지 않을 수가 없게 한다. 한편으로는 로버트 케네디라는 인물이 가지는 매력에 빠져들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82일만에 끝나버린 그 매력이 가지는 씁쓸함은 이 책을 한번 더 읽어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