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네 신지에서 꽃이 지다 - 뉴 루비코믹스 스폐셜
Renaissance Yoshida 지음 / 현대지능개발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볼 때의 느낌은 마치 '아비규환'의 인간상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무슨 "잔혹하고 끔찍한" 내용이 아니라, 인간 내부의 지독한 이기심이라던가 독점욕.. 그리고 좋아하는 사람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자신을 파멸시키는 행위까지 서슴치 않고 해대는 모습들을 볼 때.. 좀 소름이 끼치더군요. 

 

게다가, 그림도 구성면도 일부 '마니아'들에게는 어필할지 몰라도.. 웬만한 분들로서는.. 좀 소화해내기 어려운(말하자면 거부감이 드는) 것이었습니다. 한마디로 - '실험작' 또는 '문제작' 또는 '인디...'라는 표현이 붙기 딱 좋은 작품이라는 게 옳겠네요. 

 

은근히 인기가 있는데다 머리도 좋은데도 불구하고 점점 넋을 놓아가는 후카자와, 자신의 상처를 인정하려 들지 않기에 자신의 감정 따위는 인정하지 않으려고 사랑하는 이에게 지독하게 잔인한 쥬우자, 몹시도 이기적이어서 오로지 자신이 손에 넣을 수 없는 것만을 사랑하는 하니야... 

 

한결같이 - BL이란 쟝르를 떠나 "제정신이 아닌" 사람들만 나오기에.. 거부감이 엄청 들었습니다. 

그리고, 복잡하기 짝이 없는 구성(만화에 텍스트가 가득. 차라리 소설이면 소설이고 만화면 만화지, 이런 건 정말 독자에게 "너 싫으면 내 만화 보지 마라."식의 태도 같달까요?).... 

 

하지만, 보면 볼수록 - 뭔가의 메시지를 알아챕니다. 

쥬우자는 사실상 후카자와를 위해서 떠나가는 셈이나 다름없고, 그렇기에 더더욱 상처를 입었고 철저하게 마음의 문을 닫아가면서도 극단적이 되어버리는 후카자와, 후카자와가 자신을 좋아하게 된 걸 알면서도 진짜 사랑을 하게 되어 후카자와에 대한 배려와 독점욕과 사랑을 위한 희생정신을 갖게 된 하니야... 

 

묘하게 정신적 성장들을 해나가더군요. 

그러면서도, 여전히 한발씩 내디지 못하는 주인공들이 안타까워집니다. 

 

이 만화가 시리즈로 계속 나왔다 하더라도 - 아마 이들의 앞날은 결코 순탄치 못했겠죠. 

 

멍한 것 같으면서도 누구보다도 예민하기에 상처를 잘 받는 후카자와가 만일 또다시 어떤 계기로 하나야를 떠날 것 같은 태도를 취하면 하나야는 아마 미쳐버릴테고, 오히려 상처받는 데 익숙한 후카자와는 외형상으로는 별 데미지를 받지 않겠죠. 그 점에 있어서는 쥬우자도 후카자와와 마찬가지일 터이지만 말입니다. (단, 성향은 정반대로 - 후카자와 쪽이 M이라면 쥬우자 쪽은 S지만요.)

 

이 작품에서 사실상 가장 안타까운 건 후카자와도 쥬우자도 아닌.., 하나야라는 생각이 듭니다. 

남들을 자신의 세계에 들여놓는 게 싫어서 사랑받는 것을 거부했지만, 이제는 정말 후카자와를 놓쳤다간 어떻게 되어버릴 지도 모르는 캐릭터라서요. "사랑 받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알게 된 이상, "사랑 받지 못했기에 순탄했던" 때로는 도저히 돌아갈 수 없게 되었으니 말입니다. 

사실 가장 이기적인 유형은 쥬우자라기 보다는 하나야라고나 할까요?

 

보고 나니 - 처음에는 엉망진창(?)의 구성이 싫어서, 거부감 드는 그림체가 싫어서, 비정상적(?)인 캐릭터들만 나오는 게 싫어서 책을 처분해버릴까 싶기도 했지만, 그런 캐릭터들에게 왠지 공감이 가서 차마(?)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 저 작가 또한 그러한 자신의 분신으로서 저런 캐릭터들을 창조해 낸 게 아닐까 하는 묘한 짐작까지도 들게 해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