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자
아니 에르노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여자

아니 에르노 지음, 정혜용 옮김

열린책들 펴냄



그녀는 늘 소통하고 싶은 욕구는 지니고 있었다. 언어 기능은 손상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아귀가 맞는 문장들. 발음은 정확하나, 그저 사물로부터 분리되어 상상의 세계에만 복종하는 단어들. 그녀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삶이 아닌 삶을 꾸며 냈다. 파리에 가기도 했고, 금붕어 한 마리를 사기도 했고, 누군가 자신을 남편의 무덤으로 데려다 주기도 했다. 하지만 가끔씩 인식했다. [내 상태가 돌이킬 수 없게 될까봐 두렵구나.] 혹은 기억했다. [나는 내 딸이 행복해지라고 뭐든지 했어.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걔가 더 행복한 것 아니었지.]

102쪽


엄마는 본인이 치매에 걸리기 전에 기도원이나 요양원으로 들어가고 싶다는 말을 했었다.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이기도 하고 생각하고 싶지 않아서 미뤄둔 주제, 엄마의 기억이 옅어짐을 받아들이는 과정. 아니 에르노는 그 과정을 작품으로 내놓으며 어머니, 그녀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그녀의 태어남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한 여자>는 아니 에르노가 그녀의 어머니의 삶에 대해 기록한 단상이다.

아니 에르노의 어머니, 그녀는 이브토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을 여공으로 보냈다. 좀 더 지적이고 싶었던 욕구, 신분 상승의 욕구가 있었던 그녀. 그녀는 욕심이 많은, 주는 것을 좋아하는 여성이였다. 노동자 계층이지만 좀 더 점잖은 집안의 남자와 결혼해 결혼생활을 일구며 폭 넓은 사회의 일원이 된다. 그리고 겉으로 보여지는 어떤 사회적인 용모와 지적 수준을 신경쓰게 되는, 자기답지 않은 모습을 어색해하는 평범한 여성이다.


그녀가 젊은 시절 갈구했던 것은 지금의 그것과 비슷해보이기도 한다. 즐기고 싶은 마음과 동시에 반듯한 처녀 아이로 보이고 싶은, 상충되는 욕구는 지금도 존재한다. 물론 요즘은 개성을 표현하며 어른들이 말하는 "반듯한"의 기준이 많이 완화되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아직도 통용되는, 보수적인 부분에 부합하고자 하는 성인도 많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아니 에르노 본인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특정부분은 통시적이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네가 다른 애들에 비해 넉넉하지 못하다고 입에 오르내리는 건 싫어.]

그녀의 가장 깊은 욕망은 자신이 누리지 못했던 것 전부를 내게 주는 것이었다.

51쪽

아니 에르노는 어머니의 삶을 되짚으며 자신에게 했던 모든 표현(폭력, 애정 과잉, 꾸지람)들을 그녀의 개인사, 사회적 신분과 연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부분은 세상의 모든 딸들이 엄마를 이해하는 과정인 듯하다. 무조건적인 애정에서 원망으로, 이해와 수용으로 거쳐가는 어머니를 향한 다양한 감정들은 그녀가 떠난 후에야 비로소 정리된다.



어머니는 우리가 생명이 깃드는 순간에 처음 만나는 대상이다. 또한 딸, 여성이라면 언젠가 한 생명이 깃드는 순간 처음 만나게 될 대상이 된다. 그래서 딸이 바라보는 어머니에 대한 시각은 뭐라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다. 나를 낳아주었기 때문에 따라오는 원망들, 왜 나를 낳은거지? 나를 사랑한다면서 고작 이렇게? 등등. 반면 여성이기 때문에 느끼는 어떤 동질감도 존재한다. 세월의 풍파를 맞으며 그 때는 그랬기 때문에 어머니도 어쩔 수 없음을 체감한다. 그리고 어머니만큼 닳고 닳아 그녀를 고스란히 받아들일 수 있을때 즈음, 이미 늦은 경우가 많다.

아니 에르노의 <한 여자>는 어머니가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이유, 그렇게 사는 것이 최선이었음을 딸의 입장에서 이해해나가는 과정을 적어내려간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우리도 그렇게 될 것임을 암시한다.


앞으로는 그녀의 목소리를 듣지 못할 것이다. 여자가 된 지금의 나와 아이였던 과거의 나를 이어 줬던 것은 바로 어머니, 그녀의 말, 그녀의 손, 그녀의 몸짓, 그녀만의 웃는 방식, 걷는 방식이다. 나는 내가 태어난 세계와의 마지막 연결고리를 잃어버렸다.

1986년 4월 20일 일요일 ~ 1987년 2월 26일

1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