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이진송 지음, 윤의진 그림 / 프런티어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여자라서 하면 안된다와 해야한다 그 사이 흔들리는 당신에게..."






처음엔 책 제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과연 무슨 뜻일까 싶어 몇번이고 되풀이해읽었었다.

책을 다 읽고 덮고난 후에는 어떤 의미인지 알게 되었다.

000을 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그래...여자다운, 여자라서, 이런 것들로 나를 옭아매지 말자 싶었다.



여자라서 하지 못했던, 여자라서 꼭 해야만 했던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그날을 위해

한번쯤 더 깊게 생각해보며 읽어봄직한 책이라 생각이 되었다.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 그래도 부당한건 부당하다 말할수 있는 

세상은 와야하지 않을까.





각 챕터마다 영화나 드라마, 만화, 인물 등과 연관지어 다양하게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연애하지 않아도, 결혼하지 않아도, 출산하지 않아도, 나이가 어리지 않아도 등등

하지않아도 나는 여자라는것을 다시 한번 인지하며 읽게 되었다.



결혼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이 챕터에서는 걸스룹 육성프로그램 '아이돌학교'를 예시로 들어 풀어나가고 있다.

아이돌이 되려는 소녀들에게 

미래에는 아내와 엄마가 될테니 인성 교육 등을 훌륭하게 시키겠다는 이야기들...

나도 이 프로그램을 보았지만 이런 내용이 있는줄은 미처 몰랐었다.


10대 중후반 소녀들에게, 전문적인 가수를 하겠다고 모인 이곳에서

"미래의 아내, 엄마"로 호명하며 이야기하는게 무척이나 상징적이라고 말하고 있다.


웨딩드레스를 입는것이 여자 모두의 욕망인것처럼 포장하는 모습 등은

 매체에서 수없이 반복되고 재생산 되고 있다.



그에 반하는 이야기로 송경아의 소설 

<나의 우렁총각 이야기>는 무척이나 센세이션하게 느껴지기도했다.



더이상 결혼은 여성의 유일한 생계수단이 아니다.

여성의 궁극적인 행복과 로망이 결혼과 안정, 웨딩드레스라는 망상은 때려치우고,

편협한 제도를 뜯어고쳐보자 말하며 글을 끝맺고 있다.




나도 이미 남들이 말하는 결혼적령기에 한참 넘어선 나이를 짊어지고 있다.

"이젠 결혼 해야지" 하는 소리는 예전보다 많이 듣진 않지만

(이미 그런 나이를 한참 넘어선지라 포기들 하신건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엄마친구들과의 전화통화 속에서 

난 늘 나쁜 딸내미, 뭔가 부족한 딸내미가 되곤 했다.



결혼을 꼭 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단순히 예전의 틀에 박혀있는 그런 사고방식에서의 결혼생활이 아닌

사람과 사람이 만나 나의 가정을 꾸리고 함께 동반자로서 살아간다는 의미로써

내 짝을 만나보픈 생각은 여전히 갖고 있긴하다.



방긋방긋 웃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2018년 동계올림픽 컬링팀의 "팀 킴"은 많은 인기를 누렸다.

특히 안경언니라 울리우는 김은정 선수의 경기에 집중하는 모습은 무척이나 이채로웠다. 웃지 않는다. 무섭다. 무뚝뚝보인다.여성스럽지 않다..등등

많은 말들과 수많은 짤들이 돌아다녔더랬다.




그렇다. 아직도 우리에겐 여자라면 늘 방긋방긋 웃는것이 당연하다 여겼던 것이다.

그런 모습에 반해 근엄하기까지한 김은정 선수의 모습은 참 낯설고 불편했을지도 모른다. 불필요한 미소, 웃음을 강요받는 세상에서 벗어나

내가 좋아해서, 내 감정에 반해 절로 미소지을수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는게 더 좋지 않겠는가.




여성이 방긋방긋 웃지 않아서 분위기가 처지고 일할 맛이 안난다면,

그건 그 사람이 무능하다는 증거일뿐,

웃지 않는 여성의 잘못이 아니다.




여리여리 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특히 개그코드에서 많이 활용되는 여자의 뚱뚱한 몸.

울그락불그락한 근육질의 몸매는 늘 웃음을 유발하며 

여리여리한 몸매의 소유자와 비교가 되곤 한다.


첨엔 나도 아무생각없이 웃곤 했지만 보면 볼수록 불편했던것도 사실.

솔까 그래서 요즘은 개그프로를 잘 보게 되지 않게 되었다.




다 각기 갖고 있는 체질도 다르고, 체형도 다를 법인데

어쩜 그리 연예인같은 몸매만을 선호하는건지

의식자체가 바뀌면 얼마나 더 살기 편하고 좋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현재 몇키로 빼겠다고 음식 가리고, 운동해야한다며 스트레스 받고 사는일이

참 피곤하고 또 피곤하게 여겨졌다.

몸매 안따지는 맘편한 세상은 과연 언제 오는거냐.




여자여자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태어나는 순간 여성스러움을 강요하는건 아닌지 모르겠다.

여자니깐 핑크색을 입어야 하고, 치마를 입어야 하고, 레이스 옷을 즐겨입힌다?!

왜? 왜 꼭 여자는 핑크여야하고 여성스러워야만하는건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평생에 걸쳐 여자는 이래야하며, 해야할일과 하면 안되는 일로 

구분지어져 갑갑한 새장에 갖혀 살게 되는거 같다.

순종적이고, 나긋나긋한 여성만이 여성스럽다 생각하며 지내왔던건 아닌지

나의 생각도 다시 한번 되짚게 되었다.



여자니깐 이래야만 하고, 하면 안되고, 또 이건 해야만하고.. 등등

아직도 이러한 관념들 속에 나도 모르게 갇혀있었나보다.


이진송에세이를 읽으며 때론 속이 시원하기도 했고,

한껏 웃기도 하면서 사이다 같은 개운함을 느껴보기도 했다.



하지 않아도 나는 여자입니다 라는 에세이책을 읽고

 지금보다 더욱 자유롭고

 즐겁게 인생을 바라볼수 있는 치유의 시간이 되었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