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 - 내 안의 우주
김혜성 지음, 김각균.천종식 감수 / 파라사이언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살아가면서 음식을 먹지 않고 살수 없기에

입속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공존하며 살게 된다.



구강미생물은 우리몸에 꼭 필요한 존재로써 

잘 관리하지 못할시 충치, 잇몸병, 염증, 입냄새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최악의 경우 치아를 잃게되는 상황이 되기도 한다.



이뿐만이면 좋겠지만 세균들이 혈관을 타고 이동하여 

다양한 질환들에 영향을 줄수 있다고 하니 구강미생물 관리를 위한

위생관리, 먹는것에 더욱더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들었다.


입은 우리몸으로 들어오는 미생물에게 입구같은 문역할을 하게 된다.

음식을 먹고 숨을 쉬며,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이 알게 모르게 입속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입안은 미생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되었다.



세균들의 공동체를 바이오필름이라 불리우는데

치아, 구강, 피부, 장, 호흡기 등 어디에나 생기지만

적정 시간이 되면 표면의 세포가 떨어져 나간다.


하지만 치아에 붙은 바이오필름은 세균이 정착하기 쉬운 든든한 표면이 되면서

관리가 꼭 필요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입속에서 시작하는 미생물 이야기를 읽다보면 단순히 음식을 먹고

씹고 삼키고 소화를 시키는 일이 입안에서 이루어지는 단순한 기능 아닐까 싶지만,

미생물이 잇몸에 침투하고 충치, 잇몸병을 유발하며,

혈관으로 타고 온몸으로 옮겨가면서 

여러 질환에 영향을 주고, 구강건강, 우리몸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것을 보니

결코 소홀히 해선 안될 구강관리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세균들의 공동체라 불리우는 "바이오필름"은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감염병이라면 항생제를 사용해 미생물을 퇴치하는것이 맞음이다.

하지만 우리몸에 있는 미생물을 모두 없앨 방법은 없다.

우리몸 자체가 미생물과 함께 살아갈수 밖에 없는 통생명체 라는것.

건강한 상태에서도 바이오필름은 만들어진다고 하니 

건강에 안좋다는 흡연, 과음, 과식을 피하는게 좋지 않겠는가.

몸을 청결히 하고 구강내 관리도 신경쓰면 좋을 것이다.


또한 변비를 조심하는 것도 몸청결을 하는것이라고 하니 처음엔 언뜻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장에도 가장 많은 미생물이 사는곳이라

과도한 미생물이 장에 머무는것 역시 좋을리 만무하기에

구강건강은 물론 장건강에도 관심을 가져야할것이다.




최근 미생물 연구는 전체적인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서 

충치나 잇몸병이 생긴다고 보여준다.

무탄스나 진지발리스가 균형을 깨는 주요한 요인이기도 하다는 것.




구강내 상주하는 세균을 제거하면 다 좋아지는게 아닌가 싶지만

세균을 없앤다 해도 다시 생길수 밖에 없고,

항생제 등으로 원래 살고있던 세균들까지 죽이면 

다시금 미생물의 균형이 깨질수 있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엔 전체적인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이야기하고 있다.




정기적인 스케일링과 잇몸관리 받기, 

잇솔질 잘하기 등으로 실천할수 있는 위생관리에 중점을 둬야할 것이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몸의 밸런스가 무너지고 

그로 인해 구강내 건강까지 위협할수 있기 때문에

아프지 않고 잘 먹으며 건강을 유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입속에 사는 미생물이야기를 읽고 나니

순간 내 입속에 뭐가 살고 있는것인지 무서워지기도 했지만,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존재라 생각하고 꾸

준히 구강관리를 하며 살아가야하지 않을까 싶었다.


치과가는걸 두려워하지말고, 정기적인 스케일링, 

잇몸관리를 통해 구강 내 건강을 지키며,

구강건강을 위한 대안으로써 생약성분들도 함께 섭취하면 더 좋지 않겠는가~

귀찮다 생각말고 질높은 삶을 위해서라도

더 신경쓰고 관리하며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던 시간이었다.


양치질 잘 하고! 몸에 좋지 않은 흡연, 과식, 과음은 하지 않기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