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제국의 아침 - 최고 수준의 중국 역사 문화답사기
진순신 & 오자키 호츠키 엮음, 윤소영 옮김 / 솔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최고 수준의 중국 역사 문화답사기'라는 타이틀 제목이 왠지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 주로 책의 내용이 중국 역사의 한획을 그엇던 인물중심의 내용이라서 문화답사기라는 제목이 어설픈게 사실이다. 우선 책의 내용을 보면 여러 작가들이 많은 문헌을 통해서 등장 인물들을 객관적이지만, 주관적인 면이 많이 강조되는 분위기다. 그리고 내가 잘못아는지 측천무후를 칙친무후로, 조참을 조삼으로 기록되어 있다. 물론 한자는 같지만 번역이 잘못인지 내가 지식이 짧아서 그런지 약간의 의아심이 남는다.

특히 시리즈에서 가장 작가의 마음이 단적으로 나타난 문구가 있는데 어떻게 보면 너무 인간적이고, 순진한 면이 있다. 수나라 말기에 이연과 그의 둘째아들 이세민(당 태종)이 다른 경쟁자들, 특히 이밀(작가는 이 사람을 상당한 인물이라고 평가한다.)이 패배해서 역사의 이슬로 사라진 사실에 대해서 작가왈'왜 이밀과 같은 위대한 인물이 멍청한 이연과 이세민에게 졌는지 화가날 지경이다.'라는 문구는 나에게도 신선한 충격이었다. 여하튼 승자가 쓴 역사는 승리자에게는 모두가 관대하다.

이제껏 당태종에 관련된 역사소설이나 역사 평가는 당태종에게 중국역사에서 가장 손꼽히는 명군으로 평가되지만, 이책을 읽으면 독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인물을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사족-

삼국지도 여러 작가들에 의해서 많이 발간되고 하는데, 모두들 hard-boiled 적인 전개가 있는가 하면 작가의 개인적인 감정이 삽입된 책도 있다. 하지만 여러분들 중에도 '영웅 삼국지'를 읽어 보신 분이 있을 것인데 이 책은 유비는 착하고 조조는 나쁘다는 그런식의 내용을 과감하게 없애고 삼국지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그 당시의 자신으로서는 모두가 정의로운 영웅이며 정의와 정의가 부딪힐때 승리한 영웅의 정의가 진정한 정의가 되는 것으로 나온다. 아마 '최고 수준의 중국 역사 문화답사기'시리즈도 영웅 삼국지와 일맥이 상통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왕퇴의 귀부인 2
웨난 지음, 이익희 옮김 / 일빛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이 책의 내용은 무겁다. 어느정도 중국역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이 책을 읽어나가는데, 여러가지 도움이 될 것이다. 중국과 소련의 전쟁위기속에서 우연히 방공호를 파다가 발견한 무덤을 고증하면서 하나 하나 역사의 신비를 파헤쳐 나가는 과정이 인간적인 면을 느낄 수 있다. 사회주의 정권 아래서 힘들게 무덤의 유물과 미이라(거의 2000년이 지난)가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발견되고, 그 부장물로 중국역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는 노자, 전국책등 진시황의 분서유갱시 실종되었던 여러가지 자료들이 이무덤에 등장한다.

그리고 또 한가지 중국역사에 대해 놀란 사실은 고조 유방이 혼란의 중국을 통일한 시점에 죽은 이 귀부인의 신분을 역사적 기록에 의해서 그 신분이 밝혀진다. 또한번 중국의 유구한 역사적 자료에 놀라움을 느낀다. 중국의 한나라면 우리나라의 고조선 시기에 해당하는데, 그 당시의 생활상 또한 그당시 고조선의 생활과 비슷한 면이 있지 않을까 하는 위로감 마져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주 열국지 8 - 대성 공자, 완역 결정본
풍몽룡 지음, 김구용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 작가들이 쓴 삼국지를 읽어보고 중국역사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처음에는 유방과 항우와 싸우던 시대에 관한 책을 읽고 난후에 과연 이시대 이전 상고시대적에는 어떠한 영웅호걸들이 난세를 겪었는지 등, 중국의 고대사에 관심을 가진 터에 열국지를 선택하게 되었는데, 가히 얼마나 많은 나라들이 일어나고 패망했는지 열국지에 나오는 춘추전국시대의 나라군상들이 너무 많아서 정독을 하지 않으면, 열국들의 정리가 모호해 질때가 있습니다. 국어시간에 잠깐 들었던, 관포지교 한식절의 유래등 많은 양질의 내용들이 많습니다. 단지 흥미위주로 이책을 선택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이미 수 천년전의 일이지만 왜 현실처럼 느껴 질까요. 이 책을 잡는 순간 이해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