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정 - 정명공주와 광해군의 정치 기술
박찬영 지음 / 리베르 / 2015년 4월
평점 :
요즘 tv 드라마에 나오는 제목. 뭔가.. 드라마를 기대하고 읽었다. 허나, 이야기가 있는 드라마가 아니라.
선조에서 부터 숙종 까지의 그 시대적 상황과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의 자질과 그들이 한 나라를 통치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작가는 말한다. 선조의 딸이고 광해군의 동생인 정명공주의 '화정' 즉, 빛나는 다스림을 주장하고 있다.
'빛나는 다스림' 이란 주장이 참 많이 나온다. 정명공주처럼 스스로를 자제하며 나서지 않으며, 정치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지지 말
아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 그렇게 했기 때문에 80세가 넘도록 평안하게 시대를 풍미할 수 있었노라고.
이 화정, 이란 책은 선조부터 숙종까지의 선대왕들의 역사적 평가를 다시 한번 되짚어 주고 있다.
우선, 광해군의 중립외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한다.
그 중립 외교가 진정으로 광해군의 역량으로 그 시대를 유지했는가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이다.
상황 자체가 어쩔 수 없었고, 또한 명의 원군 요청으로 가서 후금에 일부러 져주며 포로가 되는 장면에선
만 명의 병사 중 천명만 살았다고 한다. 이것이 과연 진정 우리에게 이득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또한 선조, 인조에 대한 평가는 우리가 아는 것처럼 다소 비판적이다.
이 책을 그 시대를 잘 우리가 알기 쉽게 이야기해주지만, 작가의 생각이 너무 많이 들어가 있지 않나 싶다.
예를 들어 '정릉동 행궁' 에 대한 이야기는 반복되는 이야기와 작가의 생각이 너무 많이 잘못하면
자칫 실제 그러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것만은 확실하다. 정명공주의 처세술은 그 시대에선 빛나는 다스림이었을 것이다.
결정적인 순간에 침묵하는 것, 그것으로 하여금 타인이 알아서 움직이는 모습. 아들에게 한 말 중
"남의 장점과 단점을 논하기 좋아하고 정치나 법령을 망령되이 시비하는 것을 가장 미워한다." 라고.
숙종대의 주자학의 대가인 송시열은
정명공주를 이렇게 평가했다.
"존귀하면서도 겸손하고 공손하다." 라고.
지금의 노블레스 들은 그런 모습을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허나, 일반 시민들은 침묵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마틴 루터경 의 말을
"사회적 전환기에서 최대 비극은 악한 사람들의 거친 아우성이 아니라,
선한 사람들의 소름 끼치는 침묵이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