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화의 ‘허삼관 매혈기’를 읽고 - 함지현 >

 

 모든 생명에게 피는 필요하다. 하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 허삼관에게는 그 피가 더 각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그에게 있어 피는 생명 유지를 가능하게 해줄 뿐 아니라 가정을 이루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는 피를 팔아 번 돈으로 아내 허옥란을 맞아들인 후에도 여러 가정 일을 해결하기 위해 매혈을 한다. 돈을 위해 피를 팔아야 하는 상황은 비극적이다. 그럼에도 작가의 위트 있는 문체 때문에 책에서 손을 뗄 수가 없었다. 만약 이 소설이 무거운 문체로 쓰여 졌다면 중국 빈민의 고충만이 처절하게 느껴져 책장을 넘기기 힘들었을 것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피를 팔아서 생활하는 빈민의 고충이 아니라 피가 필요한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 것 같다.

 먼저, 가난한 인생을 다룬 다른 소설들과는 다르게 여기에는 ‘억압자’가 따로 없다. 이 혈두나 하소용이 그나마의 악역이지만 주인공 역시 그들과 비슷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허옥란이 집에서 비판 대회를 당하던 부분인데, 허삼관은 임분방과 저질렀던 죄를 고백하며 한 마디를 던진다. “당신과 결국은 같아.”

 이런 평등 의식은 친부자 관계가 아닌 일락과 허삼관의 화해도 가능하게 한다. 허삼관은 자신의 피를 판 돈으로 핏줄이 아닌 일락을 먹일 수 없다고 단언했지만 상처 받아 집을 나간 일락을 간신히 찾아내자 일락에게도 국수를 먹인다. 다른 핏줄이란 이유로 차별하던 첫째 아들에게도 평등의 기회를 준 것이다. 그 따뜻한 장면에 절로 웃음이 나면서 이런 속담이 떠올랐다. ‘기른 정이 낳은 정보다 무섭다’라는.

 주인공 허삼관에게도 역시 평등의 기회가 주어진다. 그는 언제나 가족을 위해 피를 판 후에야 돼지간볶음을 먹을 수 있는 처지였으나 늙은 허삼관에게 아내 허옥란이 자신의 돈으로 음식을 사준다. 항상 희생당하기만 하던 그에게도 보답이 돌아온 모습에 또 한 번 미소가 지어졌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라는 이 당연한 메시지를 소설을 통해 마음 따뜻하게 새길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