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 놀러 와 스콜라 창작 그림책 58
엘리자 헐.샐리 리핀 지음, 대니얼 그레이 바넷 그림, 김지은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애인의 날이 있는 4월에 꼭 읽어야 할 그림책, <우리 집에 놀러 와>를 소개합니다. #위즈덤하우스 에서 출간된 신간 그림책인데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회 공동체 속에서 온전히 '자기자신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풍경이 인상적인 작품입니다. 나도 나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도 나를 인정하면서요.


내가 나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도 나를 인정하는 일은 내가 마음만 먹는다면 할 수 있을 것 같은 일이지만, 그 주인공이 장애를 가진 나라면 필시적으로 우리 모두가 함께 해야 이뤄질 수 있습니다. 실제 샤르코-마리-투스병이 있는 작가 엘리자 헐은 '장애'라는 말이 나쁜 말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특별하다', '불리하다', '능력이 다르다'라고 말하는 대신 '장애가 있다'라고 말할 수 있을 뿐이라고요.


<우리 집에 놀러 와>에서 우리를 자신의 집에 초대하는 친구들은 모두 자신 혹은 가족들이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메이 리에게는 뇌성 마비가, 아치의 엄마에게는 청각 장애가, 벨라와 벨라의 아빠에겐 자폐 스펙트럼이, 프리샤의 엄마는 시각 장애가, 휴고와 아빠에겐 연골무형성증이, 맥스의 엄마에겐 지적 장애가, 주리의 아빠는 패혈증을 앓고 계시지요.


각자의 가족은 자신이 즐기는 일,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평범하고 안온한 하루를 보내요. 그리고 그 하루 속으로 자신의 친구를 두 팔 벌려 초대합니다. 우리 집 초인종은 왜 소리 대신 번쩍번쩍 불빛이 나는지, 내가 실컷 놀다가 조용하게 놀고 싶을 땐 어떻게 하는지, 우리 집 비밀 놀이터에 누가 들어올 수 있는 지 등 자신과 가족을 소개하면서요.


이 작품을 읽으며 홍은전 작가님이 쓰신 <그냥 사람>이 생각났어요. <우리 집에 놀러 와> 속 가족들은 사회 공동체에서 소속감을 느끼며 일상을 꾸려나가는 '그냥 사람'으로 존재합니다. 불쌍한 사람, 무서운 사람, 이상한 사람, 특별한 사람이 아닌 '그냥 사람'으로요.


우리 모두가 그냥 사람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이 책에 나오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이 필요한지 당연하게 준비되어야 할 편의시설에 우리 모두가 더 주의를 기울여야겠지요. <우리 집에 놀러 와>의 마지막 장면에는 모두가 그냥 사람으로 존재하는 풍요롭고 다채로운 세상이 펼쳐집니다. 저 공간에 풍덩 뛰어들어 다정하게 말을 건네고 싶어요. 우리 같이 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