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공주 해적전 소설Q
곽재식 지음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비공개된 이 책은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키고 통일을 이룬 후를 다루는 시대물입니다.

본격적인 역사 소설이 아니라 활극이라고 말할수 있겠네요.


저는 이런 류의 시대물을 보면

부모님이 안 계시는 방에서 혼자 붙들고 있던 전우치전이 생각납니다. 

전우치는 16세기 개성에 살았던 실존인물을 모티프로 했다고 하며 

도술을 익혀 탐관오리들을 통쾌하게 혼내주는 인물이죠.

사실 전우치의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은 전우치가 자신보다 도술이 뛰어난 도사와 대결을 하다 패하고

자신이 백성들을 돕기 위해 했던 일들의 허무함을 깨닫는 장면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전우치같은 인물이 나타나 각박한 세상을 구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있으면서도

도술이라는 힘을 이용해 만든 세상이 마냥 좋을 수는 없다는 이야기로 느꼈거든요.


신라 공주 해적전의 등장인물 장희도 약간은 전우치와 비슷한 인물입니다. 

도술은 쓰지 못하지만 어떤 상황에도 임기응변에 능하고 단단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인물입니다.

반면에 한수생은 별 능력이 없고 매번 고초를 겪으며 장희의 해결책을 열심히 따라가는데 바쁘죠.

두 사람은 우연한 기회에 같이 도망을 치다가 백제를 다시 건국하겠다고 섬에 모여있는 한 집단을 만나게 됩니다. 여기서 장희와 한수생은 서로를 도우며 여러 가지 모험을 하게 됩니다.


이 모험들의 곳곳에 시대적인 배경이 깔려 있고, 자칫하면 딱딱할 수 있는 정보들을 호쾌한 대사와 지문으로 설명합니다. 이야기가 시간 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의 도전과제를 깨면 다른 도전과제가 나타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읽는 재미와 몰입감이 뛰어납니다. 구조는 단순하지만 당시의 시대상을 생각해보면 완전히 다른 국가였던 백제와 신라가 통일된 것, 신라의 무장이었던 장보고의 사후 혼란한 바다의 상황, 그리고 몇 사람의 주도로 좌지우지되는 집단의 힘 등에 대해서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것 같습니다. 이런 요소들이 고전 소설의 형식과 구조를 어느 정도 의도적으로 차용한 것처럼 보이고, 그 것들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약간씩 변형시켜 표현한 듯 합니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는 묘한 교훈과 감동을 주는데요. 아무래도 과거의 시대, 역사의 흐름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고 그 안에서 살게 되는 인물들은 그 거대한 흐름에서 잠깐 반짝이고 사라지는 존재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아주 잠깐의 빛을 위해서 치열하게 애를 씁니다. 결국 그런 사람들이 무언가를 조금씩 미래에 남겨왔던 게 아닐까 싶고요. 백성들을 돕는 일의 허무함을 느꼈을 전우치에게 이 책을 추천해주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