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29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가장 이상적인 지도자의 모델로 모세와 체 게바라를 이야기한다.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권력을 이양하면서 아무런 트러블이 없었 듯, 체게바라는 쿠바혁명이 끝난 후 중앙은행장직을 사직하고 조용히 볼리비아의 산악지대로 간다. 자신은 혁명의 화려한 파티의 주인공이 아니라 아직도 남미의 진정한 독립을 위해서 전장을 뛰어든 것이다. 남미인들이 미국에 가지고 있는 감정은 실로 적대적이다.  진정한 휴머니스트 그리고 진정한 혁명가로 평가되어지는 체 게바라. 그의 생을 여러모로 살펴보면 존경이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다. 그가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추앙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진정한 정의를 실천한 젊은 청년의 삶을 추모하기 때문은 아닐까. 무엇보다 더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는 것은 편안한 삶을 버리고 고난의 길을 선택한 그의 삶의 길을 높이 사기 때문일 것이다. 게바라는 아르헨티나에 태어나서 남미의 독립을 위해서 자신의 삶 전부를 바친 혁명가다. 그는 의대에 들어가서 남미를 여행하는 동안 남미인들의 비참한 삶을 보고 그들의 삶 전반에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그들의 인권을 찾아주기 위해서 자신의 전부를 바친다. 그가 진정으로 추앙받는 것은 안위를 선택한 것이 아니라 고난과 고뇌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누구나 편하게 살아가길 원한다. 그러고 보니 모세가 애굽의 왕자 자리를 버리고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광야를 방황했듯, 체 게바리는 보장된 의사의 삶을 버리고 혁명가를 선택한 것이 비슷하다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다. 쿠바는 미국과 대립의 각을 세우면서 힘겹게 남미주의를 외치지만 그들의 투쟁은 버거워 보인다. (최근까지도 미국의 경제붕쇄로 자국내의 모든 산업이 자급자족화 되어 있는 것은 투쟁의 한 모델이 아닐까?) 어쨌든 게바라는 남미를 여행하면서 남미인들의 비참한 삶을 경험하면서 그들의 인권을 되찾아주길 다짐한다. 그렇다면 그들의 인권을 누가 유린했단 말인가? 결과는 미국이다. 너무나 거대한 골리앗이 그의 상대인 것이다. 그러나 젊은이는 무모할 것 같은 일을 성공시킨다. 수 많은 투쟁의 결과이고 게릴라 작전의 성공이라고 말한다. 밀림 속에서 그들의 우수한 화력을 이길 수 있는 것 유일한 길은 빠른 발 밖에 없다. 그러나 그가 쿠바혁명을 성공하고 다시 혁명의 길로 들어설 때에 미국이 정신을 차리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그는 볼리비아의 어느 산악지대에서 한 사람의 혁명가로 장렬하게 죽음을 맞이한다. 최강 미국을 상대로 연승을 하기에는 역부족이었을까? 열악환경 탓만은 아닐 것이다. 영웅은 결국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죽음을 맞이한다. 너무나 이상적이었을까? 아니면 너무나 감성적이었을까? 그러나 영웅이 사라진 밀림은 그 푸르름이 더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