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글은 감상적인 면이 없지 않아 있다 또한, 가장 인상적인 단어는 아무래도 똘레랑스를 생활곳곳에서 실천하고 있는 프랑스인들의 자유로움을 읽고 감동 받을 수 있다. 먼저 그것을 인정하기란 쉽지가 않다는 것을 안다. 그 뜻이 존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나와 너는 다르다. 그래서 그 다름을 인정하는 순간 인간은 존중의 대상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프랑스인의 휴머니즘을 읽을 수 있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간접경험이지만 그러면서 그 작가의 삶은 전혀 감성적이지 않다는 것을 엿 볼 수 있다. 아픈 역사의 한 단면을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의 과도기적인 민주주의가 속해 있기 때문은 아닐까? 담담한 표현을 통해서 독자를 매료시키는 면이 있다. 프랑스 문화 소개 정도라고 할까ㄴㄴㄴ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