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존 그레이 지음, 김경숙 옮김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첫 번째 환경의 차이겠고, 두 번째는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분명 다른 점들이 있고 오해에서 비롯되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제나 같은 실수와 사과의 반복 아니면 고집으로 일관하여 상호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의 반복을 거듭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나름대로 문제점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와 상황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따라서 너무나 당연한 일들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할지 가르치는 지침서가 바로 이 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여자 친구는 직장 생활을 몹시 힘들어했다. 나는 그때마다 조금 참으면 될거야. 너는 왜 그렇게 인내심이 없니? 나무라곤 했다. 게다가 당연히 할 소리라고 핀잔을 주곤했다. 결국엔 그녀는 이런 말을 했다. 형 한 번이라도 내 편이 되어주면 안되는 거냐? 나도 알아 내가 잘못한 것 인줄 알고 또, 그런 나 자신이 싫어 하지만 지금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은 형의 설교를 듣기 위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나는 단지 위안 받고 싶어서 이렇게 억지를 부리면서 형에게 말하는 거야. 그냥 한 번쯤 그냥 묵묵히 내 편이 되어 줘봐.

생각해보니 난 늘 그녀가 잘못되었다고 핀잔을 한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지난 추억을 떠올리면서 이런 때는 이런 것이 필요했구나. 그래 너무나 도덕적인 것 정도만을 그녀에게 강조하고 있었구나 그렇지 결국 그녀가 그것을 모르는 것도 아는데 웬 잔소리를 그렇게 했을까? 추억을 한 장 한 장 넘기는 좋은 시간이었다. 내 그 어설픈 도덕주의에 질려 버렸구나. 또 다시 반복된 실수를 하지 않을 자신은 없다. 그러나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구지 내 잘못은 없다고 생각해왔는데, 오늘 마지막 장을 넘기면서 쓴웃음이 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