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양장)
이케다 가요코 구성, C. 더글러스 러미스 영역,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은 너무 좁아져 있다. 그 안에 사는 특정 다수만이 문화적 혜택을 누리는 것처럼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 그리고 특정 다수의 권리와 자유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처럼 세상은 좁고 다수의 집합체는 단순히 하나의 인격의 틀을 통해 공동의 혜택을 받는 상황을 연출해 나간다. 결국 100여 개 국가의 몇 안 되는 나라만이 문화적 혜택을 누리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 불특정 다수의 희생을 요구한다.

나는 결코 패배주의자도 아니고, 게다가 더욱 비관주의자도 아니다. 하지만 현실은 늘 세상에 몇 안 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어가고 있다. 인정하는가? 이 좁지 않은 곳에서 다수보다는 특정다수의 공간만이 존재하고 있다고 규정해 버린다. 서로 협력관계를 유지한다고 보는가? 내가 세상을 좀 비틀어지게 보고 있는가? 아니다. 결국 세상엔 백여 개 국가 한사람으로 구성된 국가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아도 되지 않을까?

동료가 인터넷 서점에서 이 책을 샀다. 모든 직원들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 읽고 생각한 것은 무엇일까? 어떤 사람은 책값이 너무 아깝다고 할 것이고, 어떤 사람은 이 함축적이고 상징성 강한 책을 통해서 많은 것을 느꼈을 지 모른다. 이 좁다란 지구에 한 명으로 대표되는 국가만이 존재한다. 그 대상이 누구일지는 모르지만 이미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너무 좁거나, 대표되는 브랜드나 국가만이 살아 남아야 하는 통과의례를 거쳐야만 할지도 모른다. 아직은 도덕이 죽지 않고, 노골적인 자국의 이익을 드러내지 않지만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 거대한 집단의 이기주의가 만연할지 모른다. 그 안에 소중한 한 사람이 될 수 있는지 곰곰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