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포도 -하 범우비평판세계문학선 26
존 스타인벡 지음, 전형기 옮김 / 범우사 / 199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에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고전이라 함은 문학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원성을 지니는 작품을 말한다. 그래서 고전작품은 그 만큼 그 내용과 교훈이 뛰어나다는 것이 인증된 상태이다. 나는 고전을 많이 읽는다. 어릴 적부터 내 주변에는 고전들이 가까이 있었던 이유도 있으리라. 다시 읽는 고전은 많은 인내를 필요로 하지만 그 필요는 그만큼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재인식할 수 있다. 그래서 난 고전을 많이 접하고 읽는다. 미국 현대사를 대표할 만한 <분노의 포도>를 재도전해 본다.

경기는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고 올 대졸 졸업자들의 과반수가 넘는 인원이 실업자의 길을 잠정적으로 걸어야한다고 한다. 현실은 암담하다. <분노의 포도>-문학과 역사의 근본적인 투쟁은 무엇일까? 결론은 계급투쟁의 역사다. 그리고 우리가 문학을 통해서 혹은 역사를 통해서 깨닫는 것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서 현재 삶의 모범이 되게 하려는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

경제대국을 꾸준하게 달려온 미국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주로 세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자국의 이익과 자국민의 보호 그리고 경기의 활성화에 피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은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그 뜻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래서 강대국 국민들은 다소 오만하고 다소 활동적이며 상당한 자부심을 갖기 마련이다. 그들에게 어디 패배의식을 찾아 볼 수 있는가? 전 세계의 경제를 좌지우지하고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세계 문화를 주도하고 있지 않은가? (경제, 문화(스크린, 예술의 이주), 자본의 결집)- <분노의 포도>의 교훈을 잘 받아들인 현재의 미국 시민들이 누리는 특권이다. 그래서 감히 문학작품은 현실을 반영하고 나아가 우리들을 되돌아보게 하는 교훈서라고 말하고 싶다.

<분노의 포도>와 <태백산맥>을 비교하면서 읽어본다면......배경은 1929년 경제대공황(미국 농업의 변화)과 1930년대부터 50년대까지 한국 농촌의 현실 결국 문제는 생존의 위협에서 오는 계급간의 갈등과 민중들의 삶을 공통적으로 그려낸 작품들이다. 그러나 그 결과에 놓고 볼 때 현실은 엄격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분노의 포도)-농업기계의 발달과 함께 일터를 잃어버린 민중들은 새로운 꿈과 일터를 찾아서 이주한다. (태백산맥)-지나친 착취와 대농들의 횡포는 마침내 민중들이 스스로 일터를 떠나 새로운 세계를 찾아 나서게 만든다. -나라까지 버리면서 말이다. 결국 민중들은 새로운 이상향을 찾아 나서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착취받은 민중들이 선택한 것이 결국 사회주의가 아닌가?

현실은 극도로 악화되고 끊임없는 이주로 인한 몸의 과로, 그리고 과도한 노동과 착취는 끊이지 않는다. 그러한 역사적인 교훈을 바탕으로 미국은 세계질서를 이끄는 큰 교훈을 얻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변함없는 농업정책과 암담한 현실. 가장 저변에 있는 사람들의 대변인이 되지 못한다면 그 생활은 유지된다고 보는가? 미국은 WTO를 통해서 새로운 판로를 모색하고 우리는 방어하기에도 급급한 현실 속에 살고 있다. 문학과 역사의 교훈을 누가 잘 받아 들었다고 생각하는가? 캘리포니아에의 그 찌는 듯한 열기를 극복하고 푸른 숲을 가꾸고 있다면 우리의 현실은 만주 벌판의 북풍 속에 모시옷을 입고 있는 우리 선조들의 눈이 아른거린다. 무엇보다 더 역사는 먼저 깨닫는 자들이 현실의 주도권을 선점한다.

이러한 시기에서 읽어 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더군다나 현실이 인간을 얼마나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대중들이 현실 안에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으로 서로가 어떻게 연대하는지 그리고 삶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