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이야기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
오비디우스 지음, 이윤기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민중의 입을 통해서 형성된다. 민중은 가장 대중적이고 객관적인 편에 서 있다. 설화나 신화도 그 원형을 유지하고 유전되어 온 것 또한, 대중의 역할이 중요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를 읽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렸다. 물론 내용이 어렵다거나 이해하기 힘든 부분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한 나라의 신화가 세계화하는데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세계는 비슷한 원형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다 보면 우리는 우리의 신화와 비슷한 내용들을 접할 것이다. 모티브의 일치가 한결 독서를 편하게 한다. (생각도 많아지게 되는 면도 있고) 그리고 그런 내용은 보다 친밀감을 갖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그렇지 않은가?

[황금가지]를 읽고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변신이야기]를 읽는 즐거움이란 상당히 우리를 즐겁게 한다. 그만큼 내용을 안다는 것 그리고 과거에 읽어보았다는 것은 한층 깊이 있는 탐구를 이끌어내는 독서의 즐거움이 있다. 이런 생각을 해 본다. [황금가지]를 읽고 있으면 우리가 사는 세계는 어느 정도 공통된 정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공감하면서 책을 읽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본다. 우리의 신화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정말 비슷한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졌는데 우리의 신화를 너무 경외시한 것은 아닐까? 안타까운 마음과 부끄러움이 내내 날 힘겹게 했다.

신화는 유전자와 같으므로 면면히 우리들 가슴에서 자부심으로 남는 것이다. 친밀감이란 것을 이끌어 내려 하지 않아도 느끼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신화를 지키는 일, 그리고 책으로 엮어 내는 일이 중요하지 않을까? 영화든 소설이든 연극이든 신화적 원형에 바탕을 둔 작품에 대해서 우리는 친밀감을 갖는다. 그것이 허구일 지라도 우리는 많은 매력을 느낀다. 그만큼 신화는 우리들 마음에서 흔들리는 감정의 향수병과도 같이 우리들 몸을 이리저리 향기롭게 하는 매력이 있다는 것이다. 내용은 물론 그리스. 로마신화와 다를 것은 없다. 그러나 그들의 역사를 서술한 위대한 작가 오비디우스를 우리는 알고 있고 경외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할까? 민족적 정서를 초석화한 작품 [변신이야기]를 한 번 읽어보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우리시대의 영웅은 존재하는가? 정말 우리시대의 영웅은 존재하는가? 대부분의 대답은 부정적일까? 긍정적일까? [변신이야기]는 수많은 신들과 영웅들의 활약상을 진술하고 있다. 인간에게 [불]을 선사하고 죄 값을 치르는 헤라클레스. 사랑의 신 큐피트.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 그리고 인간미 넘치는 신들의 질투와 사랑, 모든 것이 인간사와 너무나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우리들이 그토록 그리스. 로마신화의 매력에 한증 빠져드는 것이 아닐까? 이들의 이야기를 역사의 한 장으로 이끌어낸 [변신이야기] 속에는 수많은 영웅들의 일대기가 나온다. 그리고 미다스 왕 이야기가 주는 인간 욕심의 귀결. 그리고 한 여인으로 소용돌이치는 트로이 전쟁은 실로 많은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말한다. 신화는 민족의 정신적 유전자라고...... 그리고 [변신이야기]는 위대한 정신의 산물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